경제 610

pmi50돌파와 인플레이션

24년3월 ism제조업pmi는 50.3으로 50을 상승 돌파했습니다. 그러면 경기가 살아나서 물가가 오를 것인가 하면 꼭 그렇다고 애기할 수 없습니다. 여러가지 변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표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71년 2월 pmi가 50을 돌파한 이후를 예를 들면 이전 금리인하에 침체라 써있는 것은 71년2월 pmi50돌파 전에 침체가 와서 금리인하를 했다는 뜻입니다. 안정->초인플레는 71년2월 이후 물가가 안정되었다가 이후 물가가 많이 상승했다는 뜻인데 ↘72.7↗는 72년7월까지 물가가 하락했다는 뜻입니다. 이후 유가는 →↑는 71년2월 이후 유가가 안정되다가 1차 오일쇼크로 급등했다는 뜻입니다. 이후 달러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지출 전년10%는 정부지출이 전년동기대비 10%가 넘었을 때 √로 표시..

경제 2024.04.22

주가지수 구리 저점 시간차

러셀 내피어는 침체장 바닥에서 주식을 매수하려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려 책 베어마켓(2005년)을 썼습니다. 여기서 20세기에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주식을 가장 매수하기 좋았던 때인 1921년8월, 1932년7월, 1949년6월, 1982년8월의 공통적인 특징을 언급했는데 6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수요개선으로 상품가격의 안정 2. 국채 강세 3. 회사채 안정 4. 공매도 잔고 증가 5. 재고 낮아짐 6. 자동차 판매 증가, 주택착공건수 증가 거래량 감소하며 주가하락, 거래량 증가하며 주가상승도 있는데 검증해보니 맞지 않습니다. 1.2,3,6번은 이 책 읽기 전부터 저도 알던 내용이었습니다. 위 내용을 토대로 글을 3개 쓴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1번에 대해서 애기하고자 합니다. ..

경제 2024.04.21

지수상승요인(통화완화 물가하락)의 소멸

저는 물가 3%이상에서 지수상승요인으로는 금리인하 물가하락 10년물금리하락 고용증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가3%이상에서 지수하락요인으로는 고용감소 금리인상 물가상승 10년물금리상승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1972년 이후 지수 흐름을 이걸로 다 해석한 적이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지수 흐름도 이걸로 다 해석한 글을 썼었습니다. 작년 상반기에 지수가 선방했던 것은 물가하락의 영향이 컸습니다. 작년 하반기 이후는 cpi물가는 횡보하여 지수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사라졌지만 pce물가는 작년10월부터 올해1월까지 하락하며 지수상승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 지수가 상승했던 것은 pce물가 하락외에 연준의 통화완화로 전환이 컸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더라도 2021년 처럼 통화완화를 하면 지수는 상승할 수..

경제 2024.04.20

금리인하 제동을 건 파월 변심 영향은?

위 표에서 주거비는 주거비cpi yoy 5%이상인 경우, 임금은 고용비용지수 전기대비 1%이상인 경우, 정부지출전년10%는 정부지출이 전년동기대비 10%이상인 경우에 체크했습니다. 1948년 이후를 보면 물가를 잡으려 금리인상을 하는 중에 침체가 온 경우가 8번입니다. 표에는 1969년 이후만 표시했습니다. 금리인상 중에 침체 아닌 침체는 90년 07년 2020년으로 1948년 이후 3번입니다. 1989년에는 물가를 잡으려 금리인상을 하다가 cpi pce물가 둘다 4%(현재 3%)이상이었음에도 저축대부조합사태로 경기가 안좋아 pmi가 50이하로 내려오자 인플레에도 보험적금리인하를 가져갔습니다. 주거비 임금의 물가상승잠재요인에 있었음에도 pmi는 50이상을 오르지 못해 물가상승도 없었습니다. 이때는 금리인..

경제 2024.04.18

침체 전후 주가지수 구리 금리 물가 고용 비교

위 표는 macrotrends에 나오는 월평균가를 기준으로 해서 실제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1969년 이후 왔던 8번의 침체 기간을 모두 표에 그렸습니다. 표에서 d는 different, s는 same으로 주가지수 하락이 시작할 때와 침체가 시작할 때가 비슷한 경우는 같다는 의미로 s로 다른 경우는 다르다는 의미로 d로 표시했습니다. 지수 하락 시기와 침체 시기가 다르게도 나타나는 이유는 침체와 상관없이 물가상승 금리인상 시장금리상승으로 지수가 하락해서 그렇습니다. 파월의 왕비둘기 성향을 봐서는 물가가 상승하더라도 pce물가 3%밑에서는 금리인하를 할 것도 같습니다. . 아니면 금리인하를 가져가지 않더라도 금리인상은 하지 않을 것입니다. 문제는 pce물가 3%위에서 물가가 상승할 때입니다. 인플레 환경..

경제 2024.04.16

결국 최악의 시나리오로 가지 않을까?

제가 '가능성이 큰 3개의 시나리오' 글에서 3개의 시나리오를 언급했습니다. ③번이 연준의 최악의 악수,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로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연준 위원들 발언을 보면 결국은 ③번의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로 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감소한다는 확신을 주지 못한다. 앞으로 금리인하는 데이터에 달려있다는 말도 있지만 연준 전망에는 금리인상은 없으며 금리인하를 해야 한다는 말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금값이 오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시장반응이 연준이 인플레를 용인한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결국 연준이 침체 걱정과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통화완화로 인플레를 용인하다가 물가 급등의 최악의 시나리오로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1946년처럼 긴축이 없어도 시장금리 상승으로..

경제 2024.04.12

제2의 플라자합의가 가능한가?

지금 엔화는 약세 쪽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과도한 통화움직임이 아닌 환율의 안정을 원합니다. 앞으로 엔화의 향방은 달러에 달려 있을 것 같습니다. 일본 정부는 엔화에 대해 6월 13~15일에 있는 G7정상회담에서 환율 문제를 미국이 주도하는 주요 7개국과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1995년 역플라자합의도 G7 회담때 있었습니다. 다른 보험적금리인하 시기와 달리 1995년 보험적금리인하 후에 물가상승없이 골디락스가 가능했던 이유는 역플라자합의후 달러강세가 한몫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번에 제2의 플라자합의가 가능할까요? 1985년 플라자합의는 엔화는 강세, 달러는 약세를 유도하는 합의였습니다. 그런데 달러가 약세로 갈 때 문제가 원자재가격 상승, 물가 상승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

경제 2024.04.10

보험적금리인하 후 인플레가 온 시기, 안 온 시기

저번 글에서 요즘 금값이 오른 이유를 적지 않은 것 같아 적습니다. 닉슨쇼크 후에 금리상승 달러상승에도 금값이 오른 경우는 지금이 처음 같습니다. 물가는 상승하려는데 연준이 물가를 잡기는커녕 금리인하한다며 물가상승을 조장하니 시장이 연준의 물가통제 의지와 능력을 의심하는게 최근 금값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저 표에서 66.11월 예를 들면 물가움직임에서 3.56은 첫 보험적금리인하할때 물가, (2.54)는 이후 물가 저점, 6.42는 이후 물가상승률이 6.42까지 올랐다는 뜻입니다. pmi, 구리가격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후 금리인상으로 첫인하와 같은 기준금리'란 보험적 금리인하 후에 물가가 올라서 금리인상을 했는데 첫보험적금리인하했을때의 기준금리와 같은 기준금리에 도달했을 때를 적었습니..

경제 2024.04.09

상승초입 <-> 중력을 거스른 금값

저번에 1985년이후 실질금리와 금값, 달러지수와 금값을 비교해봤는데 그 이전을 비교해보고 싶었습니다. 실질금리 자료를 찾기 어려워 달러지수와 금값만 비교하겠습니다. 금값 상승: 1971.1~1979.12, 1985.3~1987.12, 2001.5~2011.8 달러 하락: 1973.1~1978.10, 1985.4~1988.5, 2002.3(2001.7)~2011.7 금값은 1971년 전까지 금본위제에 기반한 브렌트우드체제로 금값이 고정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닉슨쇼크로 달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후 달러지수가 하락하며 1970년대 금값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달러지수가 1973년부터 있는 것은 이때 각국 통화와 비교하며 처음 달러지수 개념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1970년대 달러지수 하락으로..

경제 2024.04.07

현재 금값 최대 변수 파월

2019년 8월 첫 금리인하할 때는 이후 금값이 올랐습니다. 그러면 금리인하만 하면 금값이 오를까요? 보통 침체가 와서 금리인하할 때는 금값이 오르기는 커녕 다른 자산 하락폭보다는 덜해도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침체때 금리인하 말고 과거 보험적 금리인하를 했을 때는 금값은 어떠했을까요? 일반적으로 금은 달러의 대척점에 있는 자산으로 실질금리와 역의 관계, 달러지수와 역의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실질금리와 금값, 달러지수와 금값이 같이 있는 그래프에서 보험적 금리인하를 할 때 금값이 어떠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보험적 금리인하는 1966년 11월, 1987년 11월, 89년 6월, 1995년 7월 1998년 10월, 2019년 8월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금리인하도 안했는데..

경제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