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65

비농업고용지수(기업) 실업률(가계) 통계가 엇갈리는 이유

24년5월 비농업고용지수는 27만명으로 예상보다 높게 나왔는데 실업률은 4%로 예상보다 안좋게 나왔습니다.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고용 데이터와 가계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실업률 데이터가 엇갈리게 나왔습니다. 이 발표가 나오고나서 통계가 조작되었다 잘못되었다란 말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는 과거 초인플레 시절에도 있었던 일입니다. 보통 실업률 바닥에서 0.2~0.5% 쯤에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표를 보시면 73, 80, 81년 초인플레 시절에는 실업률이 바닥에서 0.9%, 1.3%나 올라와서야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에 진입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실업률이 꽤 올라와아 고용이 감소로 진입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실업률 바닥위 0.6%까지 올라왔는데 ..

경제 2024.06.20

지금이 적절한 채권금리인가?

방금 페드워치입니다.연준의 6월 fomc 금리전망은 2024년은 5.1%로 1번 금리인하, 2025년은 4.1%로 5번 금리인하에 해당됩니다.시장금리 수준은 페드워치로 알 수 있는데 2년물 금리가 10년물 금리보다는 페드워치와 더 잘 연동되서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현재는 24년12월 30days federal funds 선물 다수 베팅은 475~500으로 2번의 금리인하에 베팅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25년 9.,11,12월 페드워치는 나오지 않는데 1달 한단계, 2달 한단계 식으로 하향되는 것 보면 25년9월 다수 베팅은 375~400, 11,12월 페드워치 다수 베팅은 350~375에 해당될 것 같습니다.그러면 내년은 7번 금리인하에 해당됩니다.즉 시장은 내년에 7번 금리인하에 배팅하는 것을 볼..

경제 2024.06.19

채권시장(2년물금리) 횡보장 이해하기

모든 자산시장흐름에 근간이 되는 자산은 10년물 채권이라 생각합니다.물론 10년물 금리는 기준금리 물가 고용 경기 수급의 영향을 받습니다.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언급하였습니다.물가3%이하에서 물가가 횡보할 때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상승, 10년물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횡보해서 지수가 우상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물가3%이상에서 물가가 횡보할 때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상승,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하락해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3%이상에서 물가가 상승할 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해서 지수는 하락합니다. 침체나 회사채위기때는 10년물금리와 지수는 같이 하락합니다.물가3%이상에서 금리인상중지, 첫금리인하를 가져갈 때는 10년물금리와 상관없이 지수는 상승합..

경제 2024.06.17

구리가격 횡보장 이해하기

어제 주가지수 횡보장 이해하기에 이어 구리가격 횡보장 이해하기 글을 쓰려 합니다. 구리가격은 주가지수에 비해 횡보장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구리가격이 추세선상단을 뚫은 적은 73년6월, 05년6월입니다. 73년6월은 실업률 바닥이 오기전 바닥위 0.3%이고 전체 물가상승폭에서 하단 1/3에 해당하고 전체 기준금리인상폭에서 중간에 해당될 때였습니다. 05년6월은 실업률 바닥이 오기전 바닥위 0.6%이고 전체 물가상승폭이나 전체 기준금리인상 폭에서 중간에 해당되고 물가상승률도 2.5%밖에 안되었습니다. 05년6월 구리가격이 추세선상단을 뚫은 것은 중국수요와 관련이 많습니다 지금은 실업률 바닥오고 나서 바닥위 0.6%에 물가상승폭은 이미 물가고점을 찍고 한참 내려온 상태이고 기준금리인상폭도 상단에 해당..

경제 2024.06.15

주가지수 횡보장 이해하기

지금 주가지수는 박스권을 뚫고 우상향 중이니 제목을 오해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몇번 애기했지만 저는 지금이 89년 전후와 비슷하다고 봤습니다.89년 금리인상이 멈추고 첫금리인하하기 전까지 지수가 상승했다가 금리인하하고 90년 8.25% 금리를 유지할 때는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가 역을 이루며 지수는 횡보하였습니다.21년4월 물가가 3%를 넘은 후에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는 역을 이루어 횡보했다가 23년12월 파월이 금리인하를 시사한 후에 역의 관계가 깨지며 10년물금리와 상관없이 지수가 상승했습니다.파월이 4월이 금리인하에 제동을 걸면서 다시 역의 관계를 이루며 금리상승할 때 지수가 하락했다가 5월 중순부터는 90년 지수흐름과는 다른 흐름을 보였습니다.물가3%이하에서 지수가 우상향할 때 모습처럼  최근..

경제 2024.06.14

향후 점도표가 상향 or 하향될지 알 수 있는 방법

일반적으로 연준이 물가전망을 이전 fomc때보다 상향할 경우에는는 금리전망도 이전 fomc때보다 상향하고 물가전망을 이전 fomc때보다 하향할 경우에는는 금리전망도 이전 fomc때보다 하향합니다.23년12월 fomc때 23년 pce물가전망을 3,3%에서 2.8%, 근원pce물가전망을 3.7%에서 3.2%로 하향하면서 24년 금리전망을 5.1%에서 4.6%로 하향하기도 했습니다.  어제 6월 fomc에서는 24년 pce물가 전망을 3월 fomc때 2.4%에서 2.6%로 상향하였고 24년 근원pce물가 전망을 3월 fomc때 2.6%에서 2.8%로 상향하였습니다. 물가전망을 상향했기에 점도표 24년 금리전망도 4.6%에서 5.1%로 상향하였습니다.  그런데 앞으로 어느 정도 물가가 상승해야 24년12월 물가..

경제 2024.06.13

구리가격과 10년물금리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에 대해서는 제가 몇차레 언급하였습니다. 보통 침체와 회사채위기때 빼고 물가3%이상에서는 10년물 금리가 상승하면 지수는 하락하고 10년물금리가 하락하면 지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물가가 3%위에서 횡보해서 10년물 금리가 횡보할 때는 주가지수는 횡보하거나 아주 약간 오르는 정도입니다. 물가가 3%위에서 상승하면 10년물금리 상승으로 주가지수는 하락합니다. 물가 3%이하에서는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 지수는 횡보하고 10년물금리가 하락하면 지수는 상승해서 지수가 우상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침체나 회사채위기때는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는 같이 하락합니다. 한가지 더 언급하면 물가3%이상에서 금리인상을 중지하고 금리인하를 가져가려할 때는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의 역의 관계가..

경제 2024.06.08

1960년 이후 7차례 보험적 금리인하 총정리

전에 보험적금리인하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그때 1984년에서 86년도까지 금리인하는 빼먹었었습니다.이때는 금리인하가 13번에 중간에 금리인상이 3번 있었고 달러초강세여서 3번 있던 일반적 보험적금리인하와 많이 달라 제외했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빼먹은 데에 대한 찜찜한 생각이 들어 이를 넣어서 다시 총정리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금리인하는 침체가 와서 하는 금리인하가 있고 침체가 오지는 않았는데 침체를 예방하기 위해 하는 보험적 금리인하가 있습니다.1960년 이후에 보험적금리인하는 7차례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금리인하 횟수 3번은 4차례(87,95,98,19) 있었고 6번은 1차례(89) 있었습니다. 84~86년이 특이한데 금리인하가 13번 있었는데 중간에 금리인상이 3번 있었습니다...

경제 2024.06.07

바뀐 물가상승률 분위기

저는 향후 물가에 ism제조업pmi와 유가가 중요하다는 애기를 했었습니다.pmi가 50위에서 상승하면 물가는 상승하고 pmi가 50위로 오르지 못하면 물가는 횡보할 거란 언급을 했습니다. 원래 지금 상황이 1989,90년과 비슷하여 물가는 횡보할 거라 봤습니다. 1989,90년은 경기위축으로 pmi가 50밑에 머물러 물가가 상승하지도 않았지만 역사적인 낮은 유가에도 주거비 임금때문에 물가가 안내려가 4%(현재3%)위에서 횡보하였습니다. 지금도 높은 금리로 인한 경기위축으로 물가가 상승하지 않지만 주거비 임금때문에 물가가 3%이하로 내려가기 힘들거라 생각했습니다. 지금이 1989,90년과 다른 점은 그때는 금리인하를 해도 경기가 회복되지 않아 물가가 오르지 않았습니다.그러나 지금은 작년12월 금리인하를 시..

경제 2024.06.05

물가예상경로(2024.05.31)와 정부지출영향정도

오늘 4월 pce물가지수가 발표되어서 물가예상경로를 그려봅니다. 인플레나우캐스팅에서는 24년5월 cpi mom은 0.08%, 근원cpi mom은 0.3%, pce물가 mom은 0.1%, 근원pce물가 mom은 0.23%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플레나우캐스팅을 기초한 24년5월 물가 데이터를 계산하였습니다. 그리고 23년11월 데이터에서 24년5월 데이터까지로 최근 6달 평균 물가지수 mom, 24년2월 데이터에서 24년5월 데이터까지로 최근 3달 평균 물가지수 mom을 방정식을 세워 계산하였습니다. 그러면 최근 6달 평균 cpi mom은 0.29%, 최근 3달 평균 cpi mom은 0.26%, 최근 6달 평균 근원cpi mom은 0.33%, 최근 3달 평균 근원cpi mom은 0.32% 나옵니다. 최근 6..

경제 20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