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83

최근에 내생성 침체가 별로 없는 이유

질문) 과거에는 내생성 침체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2001년 외에는 중동전쟁 전염병 은행위기 같은 외생성 침체가 많아. 최근에 내생성 침체가 별로 없는 이유는 연준이 과거와 달리 침체 우려 때문에 목표 물가 잡을 때까지 금리인상을 가져가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해.금리인상으로 침체를 무릅쓰고 목표 물가치에 도달하기 보다 금리인하로 연착륙을 유도한다고 생각해이에 대해 의견을 애기해줘, 사례를 들면 더 좋고 chatgpt대답)좋은 관찰이야 — “내생성 침체”와 “외생성 충격(전쟁 · 팬데믹 · 은행위기 등)” 간 차이를 짚으면서, 왜 최근 들어 내생성 요인만으로 대규모 침체가 드물었는지 논리적으로 접근해 보는 건 매우 유익해.내 생각을 아래처럼 정리해 보고, 너 생각도 같이 비교해 보자.용어 정리 및 기본 프레..

경제 2025.10.18

근거 기반 건강검진 분류표 (불필요하거나 해로운 검진 포함)

**“근거 기반 건강검진 분류표”**입니다.국제 권고(WHO, USPSTF, NCCN, 국내 가이드라인)를 종합해서✅ ‘필요한 검진(근거 충분)’, ⚠️ ‘선택적 검진(상황 따라)’, ❌ **‘불필요하거나 오히려 해로운 검진’**으로 나누어 정리했습니다.🩺 1️⃣ 근거 기반 건강검진 분류표구분 검사 항목권장 대상 주기 근거수준 비고 ✅ 필수혈압 측정18세 이상 전 연령매년매우 높음가장 기본, 고혈압은 무증상 진행✅ 필수혈당 (공복혈당/당화혈색소)40세 이상 또는 비만·가족력1~3년마다높음당뇨 조기 발견은 합병증 예방✅ 필수지질검사 (총콜레스테롤, LDL, HDL, TG)40세 이상 또는 심혈관 위..

나의 이야기 2025.10.17

자산시장의 변곡점이 되었던 fomc결정이나 연준 의장 발언

자산시장의 변곡점이 되었던 세 시점(2015년 12월, 2020년 3월, 2023년 11~12월) 에 대해 fomc결정이나 연준의장 발언을 언급하며 이전에 변곡점이 되었던 fomc결정이나 연준의장 발언을 찾아달라고 했습니다. chatgpt 답변) 사용자가 언급한 세 시점(2015년 12월, 2020년 3월, 2023년 11~12월)은 실제로 자산시장 방향 전환의 핵심 분기점이 맞습니다. 그 외에도 과거 30년간 시장 변곡을 만든 주요 FOMC 결정이나 연준 인사 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1994 ~ 2001 : 금리인상 충격과 닷컴버블의 시작시점사건시장 반응1994 2월 FOMC그린스펀 의장이 갑작스런 첫 금리인상(3→3.25%) 단행. “선제적 긴축” 개시채권시장 붕괴, 주식시장 급..

경제 2025.10.17

내생적 침체, 외생적 침체

지난 105년중 19번의 침체가 있었는데 제 나름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본 적이 있습니다. 1. 지수 상승이 있었던 침체기간: 1926.10~27.10, 45.1~45.92. 금본위제 시절 물가는 높지 않았지만 금유출을 막고자 금리인상을 가져가는 중에 침체가 왔던 경우: 1923.5~24.6, 1929.8~33.2, 37.4~38.5, 53.7~54.5, 57.8~58.4, 60.4~61.2 3. 금본위제 시절 전쟁으로 인한 물가상승으로 금리인상을 가져가는 중에 침체가 왔던 경우: 1918.8~19.2, 1919.12~21.6, 48.11~49.10, 69.12~70.114. 물가상승으로 금리인상을 가져가는 중에 침체가 왔던 경우: 73.11~75.5, 80.1~80.7, 81.7~82.11, 200..

경제 2025.10.16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는 고용지표들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반복적으로 나올 경우 침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비농업고용지수 3개월 평균이 음수이거나 두달 연속 음수이면 침체일 가능성이 많습니다.비농업고용지수가 올해6월에 한번 마이너스가 나왔지만 아직 침체는 아닙니다. 고용지표들이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습니다. 1.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빨강색) '침체와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글에서 썼는데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이전 저점에서 01년은 5.7%, 07년은 4.2% 상승한 지점에서 침체가 시작되었습니다.지금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최근 저점은 23년9월 22.4%입니다. 여기서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4~6% 상승한 27~29% 정도 되어야 침체가 시작되리라 생각합니다. 25년8월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은 26%..

경제 2025.10.14

향후 물가가 횡보할 거라 보는 이유

cpi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개가 있습니다. ppi, 기준금리, 유가, 실업률, 구인구직비율, 재정적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cpi 전망에서 물가가 횡보하지 않을까하는 글을 썼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구인구직비율입니다. 구인구직비율에 대해서는 '1밑으로 간 구인구직비율'이란 글에서 언급하였습니다. 1960년대말 낮은 유가에도 물가상승했던 이유는 높은 구인구직비율때문입니다. 지금 구인구직비율이 1 밑으로 내려왔는데 파격적인 금리인하를 하지 않는 한 이게 다시 1위에서 쭉 상승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 근처에서 머문다면 연착륙으로 가는 거고 이게 0.8이하로 떨어지면 침체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림을 보시면 cpi yoy가 구인구직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경제 2025.10.11

하이일드스프레드 자료

핵심 수치 (전 구간, 겹치는 샘플 기준)HY–구리가격 수준 상관: +0.265HY–S&P500 수준 상관: +0.191참고로 직관과 맞춰보기 위해 HY vs (−구리), HY vs (−S&P500) 상관도도 계산:HY–(−구리): −0.265HY–(−S&P500): −0.191즉,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확대될수록(위험회피) 구리·주가지수는 대체로 약세(음의 관계)였다는 일반적 인식과 일치합니다. 다만 장기 전체 표본의 단순 상관은 약~중간 정도 수준입니다.타이밍(고점/저점) 비교 — “HY 고점” 기준 ±180일 내 가장 가까운 저점 매칭HY 고점 → 구리가격 저점평균 차이(저점−고점, 일): +0.03일, 중앙값: 0일, IQR: −8일 ~ +10일매칭된 쌍 개수: 3,793개HY 고점 → S&P500..

경제 2025.10.10

주가지수와 10년금리 요약표, 모니터링 지표세트

어제 주가지수 전망 질문을 하면서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총정리 글을 걸어놓았습니다. 부탁도 안했는데 chatgpt가 이 내용을 다음과 같은 요약표로 정리해 주었습니다. 부탁도 안했는데 알림용 모니터링 지표세트도 만들어주었습니다. 🧭 한 페이지 요약표 — S&P500 방향 결정 매트릭스구분조건 (요약)과거 대표 구간S&P500 반응해석 포인트① 금리↑·CPI 3%↑물가상승 → 금리인상 (10년물 레벨↑)68.11~70.5, 71.4~74.8, 80.11~82.6, 22.1~22.9▼ 하락멀티플 압박, 실질금리 상승. 금리상단 돌파 시 주가 약세.② 금리↑·CPI 3%↓완화적 물가 → 경기회복 반영68.2~68.5, 86.8~87.3, 17.8~18.1, 03.3~06.4▲ 상승금리상승은 경기개선 ..

경제 2025.10.10

주가지수(s&p500) 전망 (chatgpt대답)

질문)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총정리 의 내용을 같이 걸음미국 주가지수는 위 인플레와 침체를 벗어난 중용의 시기이면 잘 오르는 것 같아.향후 1년은 cpi가 3%위에서 물가상승으로 금리상승해서 지수가 하락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해.물가 3%위에서 횡보하면 주가지수가 횡보(1990년초중반)하거나 약간 상승, cpi가 3%아래에서 횡보하면 주가지수는 상승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어떠할까?물론 침체가 오게되면 주가지수는 하락하겠지.만일 침체가 온다면 1990년처럼 약한 침체로 지수가 20%정도만 하락할까?아니면 2000년 같은 약한 침체에도 주가지수는 50% 하락을 할까?2008년 같은 금융위기가 겹쳐 주가지수가 50% 하락을 할까?아니면 대공황때 같이 금융위기 2번을 경험하며 주가지수가 80% 하락을 ..

경제 2025.10.09

구리 가격 전망 (chatgpt대답)

질문) 구리가격은 1970년대 중반 원자재상승, 2000년대 중반 중국수요때 추세선을 뚫고 상승했고 그 외에는 거의 횡보했다고 봐야할 것 같아.이번에 추세선상단을 뚫을 만한 재료가 있어 보이지는 않아서 추세선상단을 뚫기는 버겁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해?구리가격은 제조업지수와 순행하고 달러지수와 역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지 않나 생각해.그리고 물가3%이상에서 기준금리인상을 가져가서 10년물금리가 일정 레벨이상에서 상승할때 구리가격은 하락하고 침체때 구리가격은 하락하지 않나 생각해.보통 둘 사이에 중용을 유지할때 주가지수는 잘 상승하는데에 비해 구리는 좀더 완화적인 포지션을 가져가야 가격이 오르는 것 같아.향후 구리가격은 추세선상단을 뚫지 못하고 횡보하다가 침체가 오면 하락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구..

경제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