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근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 비교

吾喪我 2025. 6. 15. 04:27

 
https://dunghead.tistory.com/736 에서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 관계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제가 작년11월까지 이 둘의 관계로 경제상황을 해석했는데 이후 해석을 하지는 않아 이후 해석을 해보려 합니다.  
 
1. 인플레가 문제가 될 때는 10년물 금리가 일정 레벨 이상에서 상승할 때 주가지수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역의 관계가 시작되었던 10년물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968.11  6%, 1972.12 6.5%, 1976.12 6.5%, 1980.11 12.5%,1984.1 11.5%, 2021.12 1.5%, 2023.7 4%, 2024.3 4.3%, 2024.10.21 4.15%, 2024.12.16 4.4%
위 그림의 빨간색 박스가 인플레가 문제가 되서 10년물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가 하락했던 구간입니다. 
 
2. 침체가 문제가 될 때는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가 같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다 침체 문제가 완화가 되면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가 같이 상승하거나 10년물금리가 하락해도 주가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위 그림의 노란색 박스가 그런 구간입니다. 
작년7월 실업률이 높게 나오면서 침체 우려로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가 같이 하락하였습니다. 
최근에는 트럼프 관세문제로 인한 침체 우려로 25년2월부터 5월까지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가 같이 움직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침체 문제가 완화가 되니 10년물금리가 하락하고 주가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3. 주가지수가 상승하려 할 때는 10년물금리가 일정 레벨 이하에서 상승할 때 주가지수는 횡보합니다.
작년초처럼 보험적금리인하를 가져갈 때는 10년물금리 상승에도 주가지수는 오히려 상승하기도 합니다.
이때는 당연히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는 주가지수는 상승합니다. 
 
4. 향후 중동전쟁 확전 여부가 이슈가 될 것 같습니다.
확전이 되어 유가상승 물가상승으로 10년물금리가 일정 레벨이상에서 상승할 경우 주가지수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으로 침체 우려가 심해지면 10년물금리가 어느 정도 상승한 상태에서 하락하면서 같이 주가지수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나 침체우려가 없다면 10년물 금리가 일정레벨 이하에서 움직인다면 주가지수는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