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보험적 금리인하, 침체 금리인하 비교

1965년 이후 있었던 7차례 보험적 금리인하입니다.일반적으로 금리인상은 물가를 하락시키지만 경기,고용을 위축시킵니다.반면 금리인하는 경기,고용을 확대시키지만 물가를 상승시킵니다. 그래서 금리인하를 하게되면 실업률을 하락시키거나 실업률 상승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지만 시차를 두고 물가상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연준에서 보험적 금리인하는 pmi가 50이하의 경기위축으로 갔는데 물가부담이 없을 경우 가져갔습니다.표를 보는 방법은 84.10~86.6은 금리인하를 첫금리인하는 84년10월, 마지막금리인하는 86년8월이었다는 뜻이고 이때 금리인하는 13번 있었는데 중간중간에 인상도 3번 했습니다. 이때 기준금리를 11.75%에서 5.88%까지 인하하였습니다.실업률에서 7.4%는 금리인하를 시작한 84년10월 ..

경제 2024.07.25

쉬어가는 장이냐? 하락장 시작이냐?

지금 s&p500지수선물은 고점에서 최근 저점까지 3.1%, 나스닥지수선물은 고점에서 최근 저점까지 6.1% 하락했었습니다. 주가지수가 조정이나 하락하는 경우는 고용감소하는 침체가 오거나 물가3%이상에서 물가상승할 때 금리인상을 하거나 회사채위기가 발생할 때입니다. 그러면 지금이 하락장이나 조정장 시작인지 알려면 물가상승 금리인상하는 경우인지 침체가 오는 경우인지 회사채위기가 오는 경우인지 판단하면 됩니다. 일단 지금은 물가상승해서 금리인상하는 시기는 지나긴 했습니다. 나중에 67년,98년 이후처럼 보험적금리인하로 인해 물가가 상승해서 금리인상을 해야할 경우가 생길 수도 있지만 지금 당장 해당되는 경우는 아니어서 배제합니다. 그러면 지금 당장 하락장 조정장이 올지 말지 알려면 지금이 고용감소하는 침체가 ..

경제 2024.07.22

보험적 금리인하 후 물가에 영향 시차

24년5월 근원pce물가지수에서 mom 평균 0.19%가 꾸준히 나오면 6월fomc 24년 근원pce물가상승률 전망 2.8%, 25년 근원pce물가상승률 전망 2.3%에 도달합니다.즉 이 말은 향후 근원pce물가지수 mom이 0.19%이하가 많이 나오면 물가전망 금리전망은 하향되고 금리인하를 몇번 가져갈 수 있다는 말이 되고 0.19%이상이 많이 나오면 물가전망 금리전망은 상향되고 금리인하는 힘들다는 애기가 됩니다. 0.19% 밑으로 나온 23년6월이후 0.19%이하는 7번, 0.19%이상은 5번 나왔습니다.   이건 전에 그렸던 보험적금리인하표인데 이번 24년7월 금리인하 시사를 넣었습니다.위에서 달러는 90이하는 하, 90~100은 중, 100이상은 상으로 표시했고 ↗는 달러지수가 상승 ↘는 하락 →..

경제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