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최근 5년 fomc 물가전망과 금리전망

연준 홈페이지에서 fomc 물가전망 금리전망 자료는 최근 5년치만 보여줍니다.위 표에 2016년에서 18년까지 점도표 금리전망 자료가 있는 것은 제가 전에 연준 홈피를 보고 정리한 자료가 있어서입니다.2016년에서 18년까지 물가전망 자료도 알고 싶은데 유감스럽게도 연준 홈페이지에 없습니다.  표에서 ↑는 전fomc때보다 물가전망 금리전망이 상향되었을 때 표시했습니다. ↓는 전fomc때보다 물가전망 금리전망이 하향되었을 때 표시했습니다. →는 전fomc때와 물가전망 금리전망이 같을 때 표시했습니다 상향 하향 표시할 때 3.6,9월 fomc는 그해와 내년 전망만 참고하고 내후년 전망은 참고하지 않았습니다. 상향 하향 표시할 때 12월 fomc는 그해 전망은 참고하지 않고 내년과 내후년 전망을 참고하였습니다..

경제 2024.07.09

6월 비농업고용지수와 실업률 통계의 엇갈림

6월 20일 쓴 글에 기업조사대상인 비농업고용지수와 가계조사대상인 실업률 통계가 최근 엇갈리게 나오는 이유에 대 제 나름대로 가설을 폈습니다. 과거 초인플레 시절인 73, 80년에도 실업률이 바닥에서 0.9%, 1.3%나 올라와서야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에 진입하였습니다. (보통 실업률이 바닥에서 0.2~0.5% 오른 지점에서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 올 때가 많음) 그래서 이번에도 실업률이 꽤 올라와아 고용이 감소로 진입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실업률 바닥위 0.7%까지 올라왔는데 0.9~1.3%(실업률 4.3~4.7%)까지는 올라와야 고용이 감소로 돌아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뜨면 주가지수는 오르기 힘듭니다. 본격적인 고용감소에 접어들면 주가지수는 바로 직전에..

경제 2024.07.08

9월 금리인하가 가능하려면 6,7월 근원pce물가 mom 평균이 0.14%이하가 나와야

이번 글은 6월 13일에 쓴 '점도표가 상향 or 하향될지 알 수 있는 방법'이란 글과 비슷할 것 같으면서도 다를 것 같습니다.  그때 글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습니다.  '23년12월 pce물가지수는 121.448입니다. 연준 전망대로 24년에 pce물가상승률이 2.6%면 24년12월 pce물가지수는 124.6056이 됩니다.24년4월 pce물가지수가 123.076이니 124.6056=123.076(1+x)^8 방정식을 세워서 x를 구하면 0.15%가 나옵니다.즉 연준위원들은 올해 향후 pce물가지수 mom이 평균 0.15% 나올거라 예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3년12월 근원pce물가지수는 120.305입니다. 연준 전망대로 24년에 근원pce물가상승률이 2.8%면 24년12월 근원pce물가지수..

경제 2024.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