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채권시장(2년물금리) 횡보장 이해하기

모든 자산시장흐름에 근간이 되는 자산은 10년물 채권이라 생각합니다.물론 10년물 금리는 기준금리 물가 고용 경기 수급의 영향을 받습니다.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언급하였습니다.물가3%이하에서 물가가 횡보할 때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상승, 10년물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횡보해서 지수가 우상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물가3%이상에서 물가가 횡보할 때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상승,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하락해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3%이상에서 물가가 상승할 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해서 지수는 하락합니다. 침체나 회사채위기때는 10년물금리와 지수는 같이 하락합니다.물가3%이상에서 금리인상중지, 첫금리인하를 가져갈 때는 10년물금리와 상관없이 지수는 상승합..

경제 2024.06.17

구리가격 횡보장 이해하기

어제 주가지수 횡보장 이해하기에 이어 구리가격 횡보장 이해하기 글을 쓰려 합니다. 구리가격은 주가지수에 비해 횡보장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구리가격이 추세선상단을 뚫은 적은 73년6월, 05년6월입니다. 73년6월은 실업률 바닥이 오기전 바닥위 0.3%이고 전체 물가상승폭에서 하단 1/3에 해당하고 전체 기준금리인상폭에서 중간에 해당될 때였습니다. 05년6월은 실업률 바닥이 오기전 바닥위 0.6%이고 전체 물가상승폭이나 전체 기준금리인상 폭에서 중간에 해당되고 물가상승률도 2.5%밖에 안되었습니다. 05년6월 구리가격이 추세선상단을 뚫은 것은 중국수요와 관련이 많습니다 지금은 실업률 바닥오고 나서 바닥위 0.6%에 물가상승폭은 이미 물가고점을 찍고 한참 내려온 상태이고 기준금리인상폭도 상단에 해당..

경제 2024.06.15

주가지수 횡보장 이해하기

지금 주가지수는 박스권을 뚫고 우상향 중이니 제목을 오해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몇번 애기했지만 저는 지금이 89년 전후와 비슷하다고 봤습니다.89년 금리인상이 멈추고 첫금리인하하기 전까지 지수가 상승했다가 금리인하하고 90년 8.25% 금리를 유지할 때는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가 역을 이루며 지수는 횡보하였습니다.21년4월 물가가 3%를 넘은 후에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는 역을 이루어 횡보했다가 23년12월 파월이 금리인하를 시사한 후에 역의 관계가 깨지며 10년물금리와 상관없이 지수가 상승했습니다.파월이 4월이 금리인하에 제동을 걸면서 다시 역의 관계를 이루며 금리상승할 때 지수가 하락했다가 5월 중순부터는 90년 지수흐름과는 다른 흐름을 보였습니다.물가3%이하에서 지수가 우상향할 때 모습처럼  최근..

경제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