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6

침체 관련 금융관련지표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는 고용지표들(https://dunghead.tistory.com/801)에서실업자 중 영구해고자 비율, 중소기업고용계획, 구인구직비율, 초기실업수당청구건수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실업률 데이터가 안 나와서 지난 데이터이긴 한데 25년8월 실업자 중 영구해고자 비율은 26%로 27~29%정도 되면 침체로 갈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그런데 영구해고자 데이터가 1990년대부터 나타난 거라 참고할 만한게 01년,08년 침체 밖에 없어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중소기업고용계획은 25년9월은 16%로 10%미만일 때 침체 가능성이 많아 아직 침체는 아닌데 이것 또한 자료가 몇년치 밖에 없기는 합니다. . 구인구직비율은 1미만으로 가면 8.9개월 후에 침체가 온 적이 있는데 계속 하락..

경제 2025.11.18

시나리오별 자산 가격 예상

그냥 내뇌망상이니 믿지 마세요. 1. 주식시장 1) 경기둔화(연착륙) – 가능성 40%특징: 성장률은 둔화되지만 급격한 침체는 피하는 상황. 주식시장 반응: 기업 실적은 크게 악화되지 않고, 금리 인하 기대가 점진적으로 반영. 지수는 횡보 또는 소폭 상승 가능성이 큼. 외부 충격(중동전쟁, 금융위기, 자연재해, 전염병 등)이나 소비 위축이 심화되면 침체로 전환될 수 있음. 2) 경기침체 – 가능성 30%특징: 고용 감소, 소비·투자 위축주식시장 반응: 실적 악화와 밸류에이션 압박으로 지수 하락 방어적 섹터(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상대적 강세. 3) 경기확장 + 재인플레이션 – 가능성 20%특징: 성장은 회복되지만 물가가 다시 오르는 국면. 주식시장 반응: 초기에는 성장 기대감으로 지수 상승 그러나..

경제 2025.11.12

성장 기대를 반영한 최근 주가지수 시장금리 동조화

https://dunghead.tistory.com/736 https://dunghead.tistory.com/735 에서 주가지수와 시장금리 관계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인플레이션이 문제(물가상승률 3%이상)가 되고 10년물금리가 일정 레벨이상 상승할 때 주가지수는 하락해서 둘이 역의 관계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물가안정기에는 10년물금리가 주가지수에 큰 영향은 없었습니다.물가안정 되었을 때는 10년물금리가 상승해도 주가지수는 횡보하는 정도였고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는 주가지수는 상승해서 금리영향이 약하여 주가지수가 상승할 때가 많았습니다.그러나 침체나 회사채위기가 문제가 될 때나 경기둔화때는 둘이 동조화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난 몇년간 시장을 괴롭힌 인플레때문에 2024년까지의..

경제 202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