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5

3가지 시나리오

향후 '연착륙이냐 침체냐'를 판가름을 할 지표로 고용을 애기하였습니다. 향후 시나리오는 연착륙 침체 재인플레이션 3가지를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연착륙 (경기둔화) 1989년 90년 상반기처럼 보험적금리인하로 침체로 가지는 않으나 경기둔화에 머문 상태입니다. 1) 조건 ism제조업pmi 46~50 구인구직비율 1 위아래비농업고용지수 0명~10만명cpi물가 상승률 3% 위아래 2) 해석 미국 경제는 침체 없이 연착륙에 성공하지만, 경기의 반등 탄력은 제한적입니다.제조업은 회복까지 시간이 걸리고, 고용시장은 팽창보단 안정 기조. 물가가 안정권에서 움직이기에 연준은 긴축을 재개할 이유는 없습니다. 3) 시장 반응 예상 금리: 기준금리는 동결 또는 완만한 인하 시사, 장기금리는 소폭 상승 가능..

경제 2025.11.06

귀금속 구리 주가지수 순으로 움직이는 자산가격

은 → 구리 → 주가지수의 순서(상승과 하락 모두에서 반복되는 패턴)는 각 자산이 반응하는 경기 사이클의 위치와 통화정책의 민감도 차이때문입니다.은은 금과 함께 통화정책 변화에 가장 먼저 반응하는 자산입니다.은은 귀금속이지만, 산업금속적 성격이 일부 혼합되어 있어 '금보다 경기 민감, 구리보다 통화 민감'한 특성을 가집니다.경기 둔화로 연준의 통화완화로 전환이 되면 귀금속 강세가 먼저 나타납니다.침체로 인해 통화완화로 전환이 될때 침체로 인해 귀금속 가격은 하락합니다.하락폭은 금은 심하지 않고 은은 심한 편입니다. 이후 통화완화 효과가 누적되어서 달러가 약세로 접어들 때 귀금속 가격은 바닥을 찍고 상승합니다. 구리는 은 다음에 가격이 움직입니다. 구리는 실물 경기 회복 신호에 반응하기 때문입니다.통화 완..

경제 2025.11.04

자산시장의 갈림길이 된 고용(금리인하 경계구간)

요즘 연준이 금리를 내리니까 다들 '이제 자산시장 올라가겠네'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보면 금리 인하가 자산시장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확실히 나뉩니다.결국 갈림은 ‘고용이 유지되느냐, 꺾이느냐’에 있습니다. 고용이 버티면 금리 인하는 랠리의 신호가 되고, 고용이 꺾이면 인하에도 시장은 하락합니다. 1. 고용이 견조할 때의 금리인하 - 보험적 금리인하 1967년, 1986년, 1995년, 1998년, 2019년처럼 경기 확장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연준이 미리 금리를 내렸던 시기들이 있었습니다. 이때는 흔히 말하는 보험적 금리 인하입니다. 이때는 실업률이 낮고 기업이익도 괜찮습니다. 그래서 금리를 내리면 유동성이 늘고 밸류에이션이 올라가면서 주식·원자재가 함께 상승하는 흐름이 만..

경제 202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