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5

달러신뢰저하 서사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흐름을 우려하고 있고 현재 대부분 동의하는 서사구조라 생각합니다. '미국 및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과도한 통화발행으로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게 달러의 신뢰에 타격을 줄 것이다.달러 신뢰 상실로 인한 약달러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실물자산 선호(금/은)가 계속 될 것이다.그리고 부채 비율이 너무 높아졌기 때문에 긴축도 쉽지 않을 것이다.금이 재평가 될 것이고 금본위제나 중앙은행디지털달러 체계로 바뀔 것이다.'. 저도 동의하지만 이에 대해 몇가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귀금속 가격은 계속 오를 것인가? 2007년 이후 귀금속은 통화정책민감자산이 되었습니다. 2013년 테이퍼링 시사, 2017년 계속된 금리인상, 2021년 테이퍼링 시사 등 약간의 긴축 시사(실질금..

경제 2025.11.08

금리인하와 구인구직비율

구인구직비율에 대해서는 몇번 언급하였습니다. 구인구직비율은 https://dunghead.tistory.com/792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래프에서 분홍색음영은 보험적금리인하기간, 녹색음영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기간입니다.일반 음영은 침체기간입니다. 보험적금리인하 침체금리인하 상관없이 금리인하 중에는 구인구직비율이 하락이나 횡보나 약간 상승하다가 금리인하후에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침체금리인하 기간 중에는 구인구직비율이 하락하였고 보험적금리인하 기간 중에는 하락하거나 횡보하거나 약간 상승하거나 하였습니다. 금리인하 후에 구인구직비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경기가 확장된다는 거고 물가도 같이 오른다는 애기입니다. 예외적으로 1989년 보험적금리인하 후에는 구인구직비율이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다가..

경제 2025.11.07

미국 유럽의 통증치료 양상

내가 병원에서 수술하란 환자를 침으로 tp 쳐서 연축반응 일으켜 많이 고쳤거든.아직 한국 의사들은 통증의 원인이 디스크 연골 때문이라 보고 수술을 많이 하고 연부조직을 통증의 원인으로 고려하지는 않는 것 같아.의사들에게 연부조직 치료가 돈이 안되기도 하고.유럽이나 미국은 통증 치료를 어떤 식으로 접근하는지 어떠한지 궁금해.한국처럼 경성학설에 매여 있는지 연부조직 문제를 통증의 원인으로 보고 접근하는지 궁금해. chatgpt대답) 좋습니다. 말씀하신 질문(미국·유럽 등에서 통증 치료가 ‘경성학설’ 위주인지, 혹은 ‘연부조직(근육·힘줄·신경)’ 위주인지)을 중심으로, 해외의 통증 관리 접근방식과 한국과의 차이점을 문헌을 토대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다만 “연부조직 치료만으로 수술 회피” 수준으로 보급됐다는 정..

나의 이야기 202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