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5

만약 중동전쟁으로 침체가 온다면 어느 때와 비슷할까?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를 찍은 25년6월 cpi물가상승률은 2.7%이고 지금 금리인하를 하고 있습니다.그래서 낮은 물가, 통화완화의 측면에서 연착륙이 일어났던 67, 86, 95년이랑 비슷해보여서 현재 내생성 침체보다 연착륙으로 갈 가능성이 더 있어보인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86, 95년은 실업률이 하락중이었고 67년은 실업률이 바닥에서 기었어도 구인구직비율은 1보다 훨씬 높았습니다.지금은 실업률이 바닥에서 기고 있고 구인구직비율은 1밑으로 떨어져 있습니다.adp민간고용이 최근 4개월 중에 3개월이 마이너스로 나와서 내생성 침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는 합니다. 저는 외생성 침체의 외부 충격 요인으로 중동전쟁, 자연재해, 은행위기, 전염병 등의 가능성을 애기하였습니다. 오늘은 중동전쟁에 대해 애..

경제 2025.10.30

과거와 달리 통화정책 초반부터 반응하는 은값

기준금리와 은 가격입니다. 1. 침체가 되면 은 가격은 하락했다가 침체 중후반기때 금리인하가 누적된후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는 통화정책 변화에 바로 방향을 틀지는 않습니다. 2. 은 가격은 실질금리와 달러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과거에는 금리인상 중에도 가격은 상승했다가 금리인상 중후반기가 되어서 금리인상 효과가 누적되어야 가격 상승을 멈추었습니다. 또 지금과는 달리 보험적 금리인하(84,89,95,98년)에 미국 경제가 좋아지며 은값은 오르지 못하거나 오히려 하락하였습니다. 3. 그러나 이전에 통화정책이 누적되어야 반응했던 은값은 2007년부터 통화정책 초반부터 가격에 반응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리고 최근 은값은 실질금리와 달러지수보다도 통화정책 초반부터 더 잘..

경제 2025.10.27

연착륙이냐 침체냐?

지금 경제의 가장 큰 화두는 연착륙이냐? 침체냐? 인것 같습니다. 그 갈림길을 알려면 향후 나올 고용보고서를 잘 봐야하는데 셧다운때문에 안 나오고 있습니다. 올해 25년6월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왔습니다.과거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오면 6~10개월후에 침체가 온 적이 많았습니다.그러면 이번에도 그럴까요? 표에는 과거 첫 비농업고용지수 마이너스를 찍은 년월을 표시하였고 그 년월 당시의 물가와 통화정책을 적었습니다. 표를 보시면 침체로 간 경우는 3가지 였습니다. 1. 통화완화를 하더라도 물가가 10%이상으로 높았던 경우 (74, 80, 81년)2. 고물가는 아니어도 높은 물가에 긴축을 가져간 경우 (69, 2000년)3..물가안정상태에서 금리 유지 중에 중동전쟁, 은행위기, 전염병 등의 외..

경제 2025.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