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5

내생적 침체, 외생적 침체

지난 105년중 19번의 침체가 있었는데 제 나름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본 적이 있습니다. 1. 지수 상승이 있었던 침체기간: 1926.10~27.10, 45.1~45.92. 금본위제 시절 물가는 높지 않았지만 금유출을 막고자 금리인상을 가져가는 중에 침체가 왔던 경우: 1923.5~24.6, 1929.8~33.2, 37.4~38.5, 53.7~54.5, 57.8~58.4, 60.4~61.2 3. 금본위제 시절 전쟁으로 인한 물가상승으로 금리인상을 가져가는 중에 침체가 왔던 경우: 1918.8~19.2, 1919.12~21.6, 48.11~49.10, 69.12~70.114. 물가상승으로 금리인상을 가져가는 중에 침체가 왔던 경우: 73.11~75.5, 80.1~80.7, 81.7~82.11, 200..

경제 2025.10.16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는 고용지표들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반복적으로 나올 경우 침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비농업고용지수 3개월 평균이 음수이거나 두달 연속 음수이면 침체일 가능성이 많습니다.비농업고용지수가 올해6월에 한번 마이너스가 나왔지만 아직 침체는 아닙니다. 고용지표들이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습니다. 1.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빨강색) '침체와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글에서 썼는데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이전 저점에서 01년은 5.7%, 07년은 4.2% 상승한 지점에서 침체가 시작되었습니다.지금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최근 저점은 23년9월 22.4%입니다. 여기서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4~6% 상승한 27~29% 정도 되어야 침체가 시작되리라 생각합니다. 25년8월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은 26%..

경제 2025.10.14

향후 물가가 횡보할 거라 보는 이유

cpi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개가 있습니다. ppi, 기준금리, 유가, 실업률, 구인구직비율, 재정적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cpi 전망에서 물가가 횡보하지 않을까하는 글을 썼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구인구직비율입니다. 구인구직비율에 대해서는 '1밑으로 간 구인구직비율'이란 글에서 언급하였습니다. 1960년대말 낮은 유가에도 물가상승했던 이유는 높은 구인구직비율때문입니다. 지금 구인구직비율이 1 밑으로 내려왔는데 파격적인 금리인하를 하지 않는 한 이게 다시 1위에서 쭉 상승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 근처에서 머문다면 연착륙으로 가는 거고 이게 0.8이하로 떨어지면 침체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림을 보시면 cpi yoy가 구인구직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경제 202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