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반복적으로 나올 경우 침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비농업고용지수 3개월 평균이 음수이거나 두달 연속 음수이면 침체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비농업고용지수가 올해6월에 한번 마이너스가 나왔지만 아직 침체는 아닙니다.
고용지표들이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습니다.
1.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빨강색)
'침체와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글에서 썼는데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이전 저점에서 01년은 5.7%, 07년은 4.2% 상승한 지점에서 침체가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최근 저점은 23년9월 22.4%입니다.
여기서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4~6% 상승한 27~29% 정도 되어야 침체가 시작되리라 생각합니다.
25년8월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은 26%로 아직 침체는 아닙니다.
2. 중소기업 고용계획 (파랑색)
중소기업 고용계획은 중소기업 향후 3개월 고용계획인데 늘린다-줄인다의 비율입니다.
이게 20%이상이면 고용과열, 10~20%면 완만한 고용, 10%이하이면 침체 징조로 봅니다.
25년8월은 15%로 양호한 편으로 아직 침체는 아닙니다.
3. 구인구직비율 (초록색)
구인구직비율은 전에 쓴 글에서 언급하여 생략합니다.
지금 1밑으로 내려왔는데 전에 이런 현상이 있은 후 8,9개월 후에 침체가 오기는 했습니다.
4. 초기실업수당 청구건수
초기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5~30만을 넘으면 침체 징조로 보는데 지금은 218000명입니다.
아직 침체는 아닙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시장의 변곡점이 되었던 fomc결정이나 연준 의장 발언 (0) | 2025.10.17 |
---|---|
내생적 침체, 외생적 침체 (0) | 2025.10.16 |
향후 물가가 횡보할 거라 보는 이유 (0) | 2025.10.11 |
하이일드스프레드 자료 (0) | 2025.10.10 |
주가지수와 10년금리 요약표, 모니터링 지표세트 (0)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