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수치 (전 구간, 겹치는 샘플 기준)
- HY–구리가격 수준 상관: +0.265
- HY–S&P500 수준 상관: +0.191
- 참고로 직관과 맞춰보기 위해 HY vs (−구리), HY vs (−S&P500) 상관도도 계산:
- HY–(−구리): −0.265
- HY–(−S&P500): −0.191
- 즉,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확대될수록(위험회피) 구리·주가지수는 대체로 약세(음의 관계)였다는 일반적 인식과 일치합니다. 다만 장기 전체 표본의 단순 상관은 약~중간 정도 수준입니다.
- 참고로 직관과 맞춰보기 위해 HY vs (−구리), HY vs (−S&P500) 상관도도 계산:
타이밍(고점/저점) 비교 — “HY 고점” 기준 ±180일 내 가장 가까운 저점 매칭
- HY 고점 → 구리가격 저점
- 평균 차이(저점−고점, 일): +0.03일, 중앙값: 0일, IQR: −8일 ~ +10일
- 매칭된 쌍 개수: 3,793개
- HY 고점 → S&P500 저점
- 평균 차이(저점−고점, 일): +1.56일, 중앙값: 0일, IQR: −15일 ~ +11일
- 매칭된 쌍 개수: 3,788개
IQR (Interquartile Range) = 사분위 범위
즉, 데이터의 중간 50%가 분포하는 구간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 침체를 애기하지 않는 고용지표들 (0) | 2025.10.14 |
---|---|
향후 물가가 횡보할 거라 보는 이유 (0) | 2025.10.11 |
주가지수와 10년금리 요약표, 모니터링 지표세트 (0) | 2025.10.10 |
주가지수(s&p500) 전망 (chatgpt대답) (0) | 2025.10.09 |
구리 가격 전망 (chatgpt대답) (0) | 202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