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구직비율에 대해서는 몇번 언급하였습니다.
구인구직비율은 https://dunghead.tistory.com/792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래프에서 분홍색음영은 보험적금리인하기간, 녹색음영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기간입니다.
일반 음영은 침체기간입니다.
보험적금리인하 침체금리인하 상관없이 금리인하 중에는 구인구직비율이 하락이나 횡보나 약간 상승하다가 금리인하후에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침체금리인하 기간 중에는 구인구직비율이 하락하였고 보험적금리인하 기간 중에는 하락하거나 횡보하거나 약간 상승하거나 하였습니다.
금리인하 후에 구인구직비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경기가 확장된다는 거고 물가도 같이 오른다는 애기입니다.
예외적으로 1989년 보험적금리인하 후에는 구인구직비율이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다가 걸프전으로 인한 외부충격으로 침체를 맞았습니다.
제가 어제 글에 3가지 시나리오를 애기하면서 구인구직비율이 1위에서 상승일 때는 경기확장 + 재인플레이션, 1위아래 횡보는 연착륙, 0.8이하로 하락하면 침체라고 언급을 하였습니다.
과거에 보험적금리인하 후에 대부분 경기확장+재인플레이션으로 가기는 했지만 지금 1989년 상황이랑 비슷해 보여 저는 연착륙 가능성이 제일 높을 것 같다고 애기했습니다.
그래도 3가지 시나리오 가능성이 다 열려있기는 한 것 같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성장 기대를 반영한 최근 주가지수 시장금리 동조화 (0) | 2025.11.10 |
|---|---|
| 달러신뢰저하 서사에 대하여 (1) | 2025.11.08 |
| 3가지 시나리오 (0) | 2025.11.06 |
| 귀금속 구리 주가지수 순으로 움직이는 자산가격 (0) | 2025.11.04 |
| 자산시장의 갈림길이 된 고용(금리인하 경계구간) (0) | 202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