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제글 모음

吾喪我 2025. 9. 17. 09:23

보험적 금리인하,침체 금리인하 비교, 기준금리의 역설
https://dunghead.tistory.com/700
https://dunghead.tistory.com/734
 
지금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가 아닌 보험적 금리인하라 자산 시장에는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고용증가가 10만이하로 나오는 추세로 당장 침체가 와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달러 10년물금리 원유 금은동 가격 박스권(추세선) 이탈 사건들
https://dunghead.tistory.com/727
 
과거에 금은가격은 보험적금리인하를 할 때는 미국 경제가 강해져 상승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달러에 대한 불신으로 보험적 금리인하에도 금은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이 과거와 다른 점입니다.
 
향후 있음직한 침체 성격
https://dunghead.tistory.com/725
침체 관련 경제지표
https://dunghead.tistory.com/545
 
이 글을 보면 침체가 미국에 언제 왔는지 알 수 있고 지난 110년간 미국 경제 역사를 훓어볼 수 있습니다.
 
하락 후 주가지수 저점 파악하기
https://dunghead.tistory.com/649
 
전체 쓴 글 중에서 제일 중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총정리
주가지수에 영향을 주었던 10년물금리 수치들
https://dunghead.tistory.com/736
https://dunghead.tistory.com/735
 
이에 대해서는 내일 쓸 글에 언급하겠습니다.

과거 cpi mom 3달 평균 연율 환산과 10년물금리(월평균) 비교,
3달 물가 mom 평균으로 시장금리(월평균) 고점 파악하기
https://dunghead.tistory.com/754
https://dunghead.tistory.com/752
 
기준금리와 고용의 영향이 배제된 상태에서는 cpi mom 3달 평균 연율 환산과 10년물금리(월평균)가 비슷하게 흘러가는 것을 언급했습니다.
 
실업률 분석
https://dunghead.tistory.com/776
 
전체 실업자 중에 영구해고자 비율이 침체와 얼마나 가깝나 참고할만한 것 같습니다.
물론 이것보다는 비농업고용지수가 연속적으로 마이너스 나오는 경우가 침체와 훨씬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25년 8월은 26%로 침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점도표 금리전망이 상향될지 하향될지 알 수 있는 방법2
https://dunghead.tistory.com/697
 
점도표는 이런 것도 있지만 정치적인 이유가 더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