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65

비농업고용지수(기업) 실업률(가계) 통계가 엇갈리는 이유

24년5월 비농업고용지수는 27만명으로 예상보다 높게 나왔는데 실업률은 4%로 예상보다 안좋게 나왔습니다.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고용 데이터와 가계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실업률 데이터가 엇갈리게 나왔습니다. 이 발표가 나오고나서 통계가 조작되었다 잘못되었다란 말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는 과거 초인플레 시절에도 있었던 일입니다. 보통 실업률 바닥에서 0.2~0.5% 쯤에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표를 보시면 73, 80, 81년 초인플레 시절에는 실업률이 바닥에서 0.9%, 1.3%나 올라와서야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에 진입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실업률이 꽤 올라와아 고용이 감소로 진입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실업률 바닥위 0.6%까지 올라왔는데 ..

경제 2024.06.20

지금이 적절한 채권금리인가?

방금 페드워치입니다.연준의 6월 fomc 금리전망은 2024년은 5.1%로 1번 금리인하, 2025년은 4.1%로 5번 금리인하에 해당됩니다.시장금리 수준은 페드워치로 알 수 있는데 2년물 금리가 10년물 금리보다는 페드워치와 더 잘 연동되서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현재는 24년12월 30days federal funds 선물 다수 베팅은 475~500으로 2번의 금리인하에 베팅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25년 9.,11,12월 페드워치는 나오지 않는데 1달 한단계, 2달 한단계 식으로 하향되는 것 보면 25년9월 다수 베팅은 375~400, 11,12월 페드워치 다수 베팅은 350~375에 해당될 것 같습니다.그러면 내년은 7번 금리인하에 해당됩니다.즉 시장은 내년에 7번 금리인하에 배팅하는 것을 볼..

경제 2024.06.19

채권시장(2년물금리) 횡보장 이해하기

모든 자산시장흐름에 근간이 되는 자산은 10년물 채권이라 생각합니다.물론 10년물 금리는 기준금리 물가 고용 경기 수급의 영향을 받습니다.  주가지수와 10년물금리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언급하였습니다.물가3%이하에서 물가가 횡보할 때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상승, 10년물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횡보해서 지수가 우상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물가3%이상에서 물가가 횡보할 때 10년물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상승,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하락해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3%이상에서 물가가 상승할 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해서 지수는 하락합니다. 침체나 회사채위기때는 10년물금리와 지수는 같이 하락합니다.물가3%이상에서 금리인상중지, 첫금리인하를 가져갈 때는 10년물금리와 상관없이 지수는 상승합..

경제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