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된 요추 MRI와 디스크 이상 소견에 관한 논문
논문 제목 :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Lumbar Spine in People without Back Pain (요통 없는 사람의 요추 MRI)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199407143310201
📄 논문 전문 번역
배경 (Background)
요추(허리뼈)의 이상 소견과 요통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우리는 요통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요추 MRI 촬영을 통해 비정상적인 소견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방법 (Methods)
총 98명의 무증상자(요통 없는 사람)에게 요추 MRI 검사를 시행하였다. 영상은 두 명의 신경방사선과 전문의가 각자 임상 정보 없이 독립적으로 판독하였다. 해석상의 편향을 줄이기 위해, 요통이 있는 27명의 MRI 영상도 무작위로 포함시켜 함께 분석하였다.
5개의 요추 디스크는 다음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 정상(normal): 디스크가 척추 사이 공간을 넘지 않음
- 팽윤(bulge): 대칭적으로 디스크가 공간을 넘어 돌출됨
- 탈출(protrusion): 한쪽으로 불규칙하게 돌출됨
- 파열(extrusion): 디스크 물질이 공간을 넘고, 디스크 본체와의 연결이 없음
또한, 관절 질환 등 디스크 외 구조의 이상도 기록되었다.
결과 (Results)
- 98명의 무증상자 중 36%만이 모든 디스크에서 정상 소견을 보임
- 평균적으로:
- 52%: 한 개 이상에서 팽윤
- 27%: 탈출
- 1%: 파열
- 전체적으로 64%는 최소한 하나의 디스크 이상을 가지고 있었고, 38%는 두 개 이상에서 이상이 있었다.
- 나이가 많을수록 팽윤의 비율은 증가함
- 성별과 탈출 유병률은 연관성이 없었음
디스크 외 이상 소견:
- 슈몰결절(Schmorl’s node): 19%
- 섬유륜 결함(Annular defect): 14%
- 관절병증(Facet arthropathy): 8%
- 척추분리증(Spondylolysis),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척추관 협착: 각 7%
결론 (Conclusions)
무증상자에게도 디스크 돌출이나 탈출 소견이 흔하게 발견된다. 그러므로 요통이 있는 환자에서 MRI를 통해 이와 같은 이상 소견을 발견했다고 해서 그것이 통증의 원인이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임상 증상과 영상 소견은 항상 함께 고려해야 하며, 단순히 MRI 이상만으로 치료 결정을 해서는 안 된다.
📌 임상적 함의
- MRI상 소견은 자연적인 노화 과정의 일부일 수 있음
- 무증상자에서도 디스크 돌출이 흔하기 때문에, 통증 원인을 디스크 문제로만 단정하는 것은 과잉 진단 및 불필요한 수술로 이어질 수 있음
참고 사항
- 이 논문은 **Boden et al.**이 수행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디스크 MRI 해석의 기준점으로 자주 인용되는 고전적인 연구입니다.
- 특히, 디스크 이상 = 무조건 통증이라는 오해를 바로잡는 데 기여했습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마쓰모토 미쓰마사, 2015) (0) | 2025.05.08 |
---|---|
근골격계 수술 후 더 아픈 이유에 대한 chatgpt 대답 (근육&힘줄 간과의 문제) (0) | 2025.04.30 |
책 ‘수술 권하는 정형외과의 비밀’ (0) | 2024.03.11 |
책 '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0) | 2024.03.10 |
논어 (2)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