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서로 다른 곳을 보는 주식시장, 금시장

골디락스로 대표되는 기간이 1994년 금리인상 후 보험적 금리인하가 있었던 1995년입니다. 이때는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지수는 횡보하고 10년물 금리가 하락할 때 지수는 상승해서 결과적으로 지수가 상승했습니다. 올해 1분기와 9월 중하순은 첫금리인하로 인해 지수가 상승했던 모양을 띄었습니다. 올해 5월 중순에서 7월 중순, 8월 중하순, 10월이 1995년과 같은 골디락스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 10년물 금리가 4.3%를 넘었을 때 골디락스 모습을 보여줄지는 지켜봐야 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지금을 골디락스로 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골디락스 때는 금값은 하락하였습니다. 1995년에 금리인하 후 금값은 횡보하다가 금리인하효과로 미국경제가 잘나가 달러가 강세로 가니 1996년 이후 금..

경제 2024.10.30

10년물 금리와 관계로 본 향후 주가지수 예상

이 글은 한달전에 쓴 향후 주가지수가 오를지 말지 알 수 있는 방법(https://dunghead.tistory.com/723)을 보셔야 이해가 됩니다. 이때 최근 6달치 주가지수를 10년물금리와 연관하여 해석하였습니다. 9월 fomc 빅컷이후 9월 중하순은 올해 1분기처럼 첫금리인하때 10년물 금리와 상관없이 주가지수가 상승한 것처럼 10년물 금리가 상승함에도 주가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다 10월 들어 10년물금리가 상승할 때 주가지수는 횡보(빨간 박스)하였고 10년물 금리가 하락할 때는 주가지수는 상승(노랑 박스)하는 모습을 나타내 전형적인 상승장 모습을 보이긴 했습니다. 그런데 10월에는 주로 10년물 금리가 상승해서 상승장처럼 보이지가 않기는 한데 주가지수가 상승하기는 했습니다. 향후 10년물..

경제 2024.10.29

금값은 언제 조정이 있을까?

1950년 이후 금값이 크게 오른 것은 6차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1971년 닉슨쇼크, 1977~79년 스태그플레이션에 약한 긴축, 2001년 금리인하 누적 후,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양적완화 후,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양적완화 후, 2024년 보험적금리인하 후인 현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금가격이 많이 상승하는 경우는 2001, 2008, 2020년 침체로 인해 금리인하 양적완화를 해서 통화량이 늘어나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1971년 닉슨쇼크, 2000년대 중반 쌍둥이 적자, 최근 재정적자 정부부채 같이 달러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면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금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헷지수단으로도 오르기도 하는데 이건 잘 구분해야 합니다.물가가 오른다고 금값이 오..

경제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