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10월 실업률 분석

보잉 파업으로 추정되는 제조업과 운송장비업 고용 감소과 허리케인 영향로 10월 비농업고용지수는 12000명 밖에 안나왔습니다.그리고 고용보고서에서 허리케인 영향으로 제대로 조사가 되지 않아 11월19일에 주별 10월 고용과 실업률 예상치를 발표한다고 합니다.그래서 시장에서는 이번 고용보고서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미국 10월 고용보고서에 있는 표인데 원인별 실업률 구성 요소에 대해 잘 애기해주고 있습니다. 원인별 실업률 구성 요소는 4가지로 나누어 지는 걸로 볼 수 있습니다.  1. 일자리 상실자, 임시직 종결자  여기는 일시해고자와 일시해고중 아닌 경우로 나뉩니다.  일시해고중 아닌 경우는 영구해고자와 임시직 종결자로 나뉩니다.2. 자발적 퇴사자3. 신규 진입자: 신규 진입자는 새..

경제 2024.11.02

10년물 금리에 따른 주가지수 시나리오

어제 글에서 최근 열흘 10년물 금리가 4.15%를 넘기자 이전 모습과는 달리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는 주가지수가 하락하고 10년물 금리가 하락할 때는 주가지수가 상승하는 횡보장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애기했습니다.만일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다음과 같은 10년물 금리에 따른 주가지수 시나리오 예상이 가능합니다. 1. 10년물 금리가 4.15% 밑에서 머무는 경우이 경우 침체가 오는 경우 아니면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주가지수는 횡보, 10년물 금리가 하락할 때는 주가지수는 상승해서 결과적으로 주가지수는 상승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2. 10년물 금리가 4.15% 위에서 횡보하는 경우이 경우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주가지수는 하락, 10년물 금리가 하락할 때는 주가지수는 상승해서 결과적으로 주가지..

경제 2024.11.01

최근 열흘 10년물 금리 4.15%위에서 부담을 느끼는 주가지수

제가 10년물 금리와 주가지수를 설명하면서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주가지수가 횡보하면 상승장으로 갈 가능성이 많고 10년물 금리가 상승할 때 주가지수가 하락한다면 횡보장으로 갈 가능성이 많다고 애기했습니다.물론 10년물 금리가 4.5~5% 위에서 계속 상승한다면 주가지수는 하락장으로 갈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리고 현재 주가지수가 4.3%나 4.5% 이상의 10년물 금리에서 주가지수가 부담을 느낄 수도 있다는 애기를 해서 이 금리를 넘을 때 지켜봐야 한다는 애기를 했습니다.  원래 10년물 금리와 주가지수를 살필때 저게 기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 3달치 이상 데이터로 봐야합니다.위 그림은 이번 10월 한달치 10년물 금리와 주가지수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위에 빨간줄은 10년물 금리 4.15..

경제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