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금리가 성장과 물가를 제대로 반영해야 고점을 찍는 불편한 사실

3일전에 명목gdp전년비가 10년물금리보다 높을 때 명목gdp전년비가 10년물금리가 데드크로스를 이룬 후 10년물금리 고점이 온 것에 관한 글을 썼습니다. 그림에서 녹색원이 데드크로스가 일어난 부분이고 이후 10년물금리가 고점을 찍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1984년 2분기도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84년 1분기에 명목gdp전년비가 10년물금리보다 높았다가 2분기에 다시 낮아져 데드크로스가 일어났는데 저는 이때가 물가안정시기라고 착각하고 침체도 없었던 때라 넣지를 않았는데 84년1월~12월까지 물가상승률이 4%를 넘는 시기였었네요. 84년 2분기에 데드크로스가 일어난 후 84년 6월 10년물금리 월평균이 고점을 찍어서 이때도 데드크로스후 10년물금리 고점이 왔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명목gdp전..

경제 2024.11.27

생각해볼 수 있는 경우의 수

지금 헤드라인 물가는 안정적입니다.근원물가가 문제입니다.현재 근원cpi물가상승률은 내려오지 않고 3.2%위에서 횡보하고 있고 근원pce물가상승률은 2.6%위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최근 3달 평균 근원cpi물가를 연율로 환산하면 3.48%나오고 최근 3달 평균 근원pce물가를 연율로 환산하면 2.32%가 나오는데 9월 근원pce물가 mom이 0.25%로 높게 나왔고 10월달도 높게 나올 것 같습니다. 근원 물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주거비인데 주거비는 고정금리라 긴축의 영향을 받지 않은 영향이 큽니다.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모기지 고정금리를 하면서 미래의 침체와 미래의 인플레를 맞바꾸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물가를 봐서는 금리인하를 하면 안됩니다.지금 금리인하로 인한 금리인하효과가 선반영되어서..

경제 2024.11.25

인플레때 명목gdp 10년물금리 데드크로스 후 10년물금리 고점은 왜?

2020년은 인플레가 있던 시절은 아니라 설명에서 빼겠습니다. 제가 어제 글에 인플레시절 1975년 빼고 명목gdp전년동기비 10년물금리 데드크로스 이후 침체가 왔다는 글을 썼습니다.그런데 표를 보시면 데드크로스 후에 10년물금리 고점이 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0년 1분기만 동시에 왔고 나머지 시기는 데드크로스 후에 10년물 금리 고점이 왔습니다.데드크로스는 침체보다는 오히려 이후 10년물 금리 고점과 더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명목gdp전년동기비를 실질gdp전년동기비와 pce물가상승률로 나누어서 그래프를 그려봤습니다. 1970년대는 스태그플레이션 시절이라 실질gdp전년동기비는 하락하고 물가상승률은 상승하면서 데드코로스가 일어났습니다.데드크로스 후에 10..

경제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