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전체고용/취업자수 비율로 본 고용감소 여부 파악

전체고용은 기업조사를 통해서, 취업자수는 가계조사를 통해서 파악됩니다.5일 전에 쓴  '전체고용(기업)과 취업자수(가계) 비교를 통한 고용감소 여부 파악' 글에서 첫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오기 전에 취업자수는 늘어나지 않고 횡보하는 반면 전체고용은 증가한다는 애기를 했습니다.취업자수가 횡보한 기간은 보통 6개월~1년 미만이었는데 지금은 1년 넘게 횡보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전체고용/취업자수 비율과 첫 비농업고용지수 마이너스를 비교하고 싶어 그래프를 그렸습니다. 빨간줄은 비농업고용지수가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때입니다.  이 비율의 고점인 부분 부근에서 첫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를 찍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전체고용/취업자수 비율이 과거보다 높은데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불법체류자는 가계조..

경제 2024.12.13

cpi 근원cpi mom 0.31, 주거비cpi mom 0.34

오늘 cpi mom, 근원cpi mom은 0.31% 나왔습니다. 주거비cpi mom은 0.34% 나와서 전달 0.38%보다 0.04% 줄었습니다.시장 예상인 0.3%에 부합하고 주거비cpi mom이 0.013% 차이로 0.4%가 아닌 0.3%으로 발표가 되어서 주가지수는 상승한 것 같습니다. 작년12월 금리인하 시사후 물가지표가 높게 나오다가 올해4월 금리인하 제동을 건후 물가지표는 낮게 나오다 최근 금리인하를 하면서 물가지표는 높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준이 금리결정에서 최근6달,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을 연율 환산한 것을 보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근원pce물가상승률은 2.6%밑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2.8%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인플레나우캐스팅에서는 올해는 물가전망 2...

경제 2024.12.12

16세이상인구,경제활동인구 중 영구해고자 비율로 본 침체

보통 침체가 오면 영구해고자가 급격히 늘어납니다. 그래서 전에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로 침체를 알아봤습니다.그런데 실업통계가 경제활동인구를 조절함으로 마사지가 가능한 느낌입니다.그래서 16세이상인구 중 영구해고자 비율, 경제활동인구 중 영구해고자 비율과 침체를 비교해보고 싶었습니다. 침체 기간이 2001년3월, 2007년12월 시작으로 되어 있습니다.주가지수는 그 이전부터 하락하였습니다.영구해고자 통계는 fred에 1994년부터 보입니다. 2001년3월 침체가 시작할 때 실업자 중 영구해고자 비율은 22.75%이고 바닥에서 5.05% 올라왔을 때입니다. 2007년12월 침체가 시작할 때 실업자 중 영구해고자 비율은 26.38%%이고 바닥에서 4.18% 올라왔을 때입니다. 2001년3월 침체가 시작할 때..

경제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