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파업으로 추정되는 제조업과 운송장비업 고용 감소과 허리케인 영향로 10월 비농업고용지수는 12000명 밖에 안나왔습니다.
그리고 고용보고서에서 허리케인 영향으로 제대로 조사가 되지 않아 11월19일에 주별 10월 고용과 실업률 예상치를 발표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장에서는 이번 고용보고서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미국 10월 고용보고서에 있는 표인데 원인별 실업률 구성 요소에 대해 잘 애기해주고 있습니다.
원인별 실업률 구성 요소는 4가지로 나누어 지는 걸로 볼 수 있습니다.
1. 일자리 상실자, 임시직 종결자
여기는 일시해고자와 일시해고중 아닌 경우로 나뉩니다.
일시해고중 아닌 경우는 영구해고자와 임시직 종결자로 나뉩니다.
2. 자발적 퇴사자
3. 신규 진입자: 신규 진입자는 새로 노동시장에 들어온 사람으로 일자리를 구해서 실업률 통계에 잡힌다고 보여집니다.
4. 재진입자: 재진입자는 이번달 전에 들어온 신규 진입자로 이월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표 중간부분에는 1,2,3,4에 대한 인원수가 나오고 있고 각 구성 요소별로 전체 실업자중 에서 차지하는 %가 뜹니다.
그리고 표 밑에 부분에는 그 달 실업률에서 각 구성 요소에 해당되는 실업률 부분을 적고 있습니다.
24년10월 전체 실업자 중에서 일자리 상실자, 임시적 종결자는 48.9%, 전체 실업자 중 일시해고자는 12.2%, 영구해고자는 26.3%, 자발적 퇴사자는 11.5%, 재진입자는 31%, 신규진입자는 8.6%입니다.
영구해고자가 전체 실업률에 차지하는 비율은 표에 나오지 않아 따로 계산해서 적었습니다.
'침체와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글에서 썼는데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이전 저점에서 01년은 5.7%, 07년은 4.2% 상승한 지점에서 침체가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 최근 저점은 23년9월 22.4%입니다.
여기서 실업자중 영구해고자 비율이 4~6% 상승한 27~29% 정도 되어야 침체가 시작되리라 생각합니다.
10월이 전달과 다른 것은 일시해고자는 48000명이 감소한 대신 영구해고자가 153000명이 늘어 전체 실업자 중 영구해고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26.3%로 전달보다 1.7% 늘어난 점입니다.
저는 이번에 파업과 허리케인 때문에 고용보고서가 안좋게 나올 거란 애기를 들어서 7월처럼 일시해고자가 늘어날거라 생각했는데 영구해고자가 늘어 의외였습니다.
7월에는 허리케인 영향이 커서 일시해고자가 전달보다 249000명이 늘어 시장에 충격을 주었지만 영구해고자는 늘지 않아 침체와는 상관이 없는 데이터였습니다.
그런데 10월에는 영구해고자가 늘어난 것이 좋은 징조는 아니긴한데 한달 데이터로 판단하기는 이릅니다.
파업이 영구해고자로 잡힌 건지 침체로 향해가는 중이라 영구해고자가 늘어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위 표의 24년10월 실업률과 구성요소가 소숫점 한자리로 되있어 뭔가 정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소숫점 두자리수까지 계산해보고 아래에 표를 그렸습니다.
24년10월 실업률은 4.145%로 공식적으로 반내림해서 4.1%로 발표되었고 위 표 소숫점 두자리수 기재는 반올림해서 4.15%로 표시하였습니다
실업자 8천명 차이로 4.2%로 발표될뻔한 실업률이 4.1%로 발표되었습니다.
23년10월 실업률은 3.8%, 24년10월 실업률은 4.1%로 발표되어 둘의 차이는 0.3%가 나지만 소숫점 두자리수로 계산하면 0.31% 차이가 납니다.
전달과 실업률 발표 수치는 차이가 없지만 소숫점 두자리로 따지면 0.1%(정확히 0.095%) 차이가 나서 실업률이 소폭 증가했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24년10월 4.15% 실업률에서 일자리 상실자, 일시직 종결자가 4.15중에 2.02 해당됨을 볼 수 있습니다.
일시해고자는 4.15중에 0.5, 영구해고자는 4.15중에 1.09, 자발적 퇴사자는 4.15중에 0.48, 재진입은 4.15중에 1.28, 신규 진입자는 4.15중에 0.36에 해당됩니다.
24년10월 실업률을 1년전과 1달전에서 비교해서 증가분을 적었습니다.
실업률이 1년 전에 비해 0.31 증가 했고 일자리 상실자, 임시직 종결자는 0.16 증가, 영구해고자는 0.11 증가, 일시해고자는 0.04 감소하였습니다.
재진입 신규진입자는 합쳐서 0.17 증가하였습니다.
실업률이 1달 전에 비해 0.1 증가하였습니다.
영구해고자가 0.09 증가, 재진입이 0.07 증가한 영향이 큽니다.
일시해고자가 0.03 감소, 신규진입자가 0.03 감소하여 그나마 증가폭을 완화시켰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년물 금리에 따른 주가지수 시나리오 (4) | 2024.11.01 |
---|---|
최근 열흘 10년물 금리 4.15%위에서 부담을 느끼는 주가지수 (2) | 2024.10.31 |
서로 다른 곳을 보는 주식시장, 금시장 (2) | 2024.10.30 |
10년물 금리와 관계로 본 향후 주가지수 예상 (1) | 2024.10.29 |
금값은 언제 조정이 있을까? (7) | 202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