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8

향후 생각해볼 수 있는 4가지 시나리오

1. 경기둔화 저는 이 시나리오가 가능성이 제일 많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1989,90년의 경우랑 비슷한 경우입니다. 1989,90년은 6번의 보험적 금리인하에도 제조업경기는 살아나지 못하여 4% 의 물가상승률은 더 오르지는 않았습니다. 1965년 이후 7 차례의 보험적 금리인하 중에 pmi가 50이상을 못 넘어 물가가 오르지 않는 경우는 1989,90년이 유일했는데 지금은 이때를 따라가기 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때 주가지수는 상단에서 횡보하였습니다. 연준이 금리인하를 한다고 해도 물가상승 우려때문에 시장이 원하는 만큼 해주기는 힘듭니다.금리인하를 해도 여전히 고금리이기에 1989,90년 처럼 제조업 경기가 살아나기는 힘들어 ism제조업pmi는 올라도 지속적으로 50이상을 넘기 힘들 수 있습니다.그러..

경제 2024.09.10

2년물 금리, 선물 범위 예상 수정 및 채권시장의 설레발?

25년12월 페드워치가 내용이 뜬지 얼마 안되서인지 매일 페드워치에 따른 2년물 금리 채권가격을 계산을 해보는데 변화가 심합니다. 원래 이게 안착되면 이렇게 변화가 심하지는 않습니다. 저번 결과랑 금리는 0.1%, 채권가격은 7~8포인트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보통은 날짜에 따라 3~4포인트 차이 나는 정도입니다. 2년물 채권 선물 가격은 24년12월물입니다. 내년까지 7번 인하 4.19~4.40%, 102'24.3~103'06.3 8번 인하 3.98~4.19%, 103'06.3~103'20.3 9번 인하 3.77~3.98%, 103'20.3~104'02.3 10번 인하 3.56~3.77%, 104'02.3~104'16.3 24년12월 페드워치를 반영한 결과는 날짜에 따라 변화가 심하지는 않습니다. 올해..

경제 2024.09.09

8월 실업률 분석

미국 8월 고용보고서에 있는 표인데 원인별 실업률 구성 요소에 대해 잘 애기해주고 있습니다. 원인별 실업률 구성 요소는 4가지로 나누어 지는 걸로 볼 수 있습니다.  1. 일자리 상실자, 임시직 종결자  여기는 일시해고자와 일시해고중 아닌 경우로 나뉩니다.  일시해고중 아닌 경우는 영구해고자와 임시직 종결자로 나뉩니다.2. 자발적 퇴사자3. 신규 진입자: 신규 진입자는 새로 노동시장에 들어온 사람으로 일자리를 구해서 실업률 통계에 잡힌다고 보여집니다. 4. 재진입자: 재진입자는 이번달 전에 들어온 신규 진입자로 이월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표 중간부분에는 1,2,3,4에 대한 인원수가 나오고 있고 각 구성 요소별로 전체 실업자중 에서 차지하는 %가 뜹니다.그리고 표 밑에 부분에는 그 달 실업률에서 각 구..

경제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