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6

금리인하로 고개를 든 3%위 물가상승

그저께 '보험적금리인하 후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글을 쓰면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었습니다. " 앞으로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당장 가능성이 많아 보이는 것은 10년물 금리가 오르더라도 일정 레벨을 넘지 않는다면 녹색처럼 보험적 금리인하 효과로 금리상승하면서 지수는 상승하는 경우입니다. .그러다 경기 활황으로 물가상승하면서 10년물 금리 레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 상승하면 빨강처럼 금리상승하면서 지수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보험적 금리인하에도 경기둔화를 극복 못하여 pmi가 50을 넘지 못하고 10년물 금리가 완만하게 상승하면 노랑인 89년11월~90년4월 처럼 지수는 횡보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지금 비농업 고용지수가 십만 이하로 나오고 있는데 마이너스가 누적되어 침체로 가서 고등색처..

경제 2025.09.21

보험적금리인하 후 10년물금리 주가지수

2024년11월에 쓴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총정리' 란 글을 chatgpt한테 차트로 그려달라고 했습니다. 같이 볼 수 있게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총정리'글을 가져와봅니다.그리고 향후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애기해보고자 합니다. "1. 10년물금리 상승, 주가지수 하락 1) 물가3%(과거4%)위 물가상승으로 금리인상 가져간 경우: 68.11~70.5, 71.4~71.7, 72.12~74.8, 80.11~82.6, 22.1~22.92) 중동전쟁으로 인한 유가상승, 물가상승: 90.7~90.83) 국채수급우려로 인한 금리상승: 23.7~23.104) 금리인하 제동으로 인한 금리상승: 24.3~24.4(10년금리 4%) 이에 대해서는 어제 '주가지수에 영향을 주었던 10년물 금리 수치..

경제 2025.09.19

블로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제글 모음

보험적 금리인하,침체 금리인하 비교, 기준금리의 역설https://dunghead.tistory.com/700https://dunghead.tistory.com/734 지금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가 아닌 보험적 금리인하라 자산 시장에는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그런데 고용증가가 10만이하로 나오는 추세로 당장 침체가 와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달러 10년물금리 원유 금은동 가격 박스권(추세선) 이탈 사건들https://dunghead.tistory.com/727 과거에 금은가격은 보험적금리인하를 할 때는 미국 경제가 강해져 상승하지 못했습니다.그런데 지금은 달러에 대한 불신으로 보험적 금리인하에도 금은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이 과거와 다른 점입니다. 향후 있음직한 침체 성격https://du..

경제 2025.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