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6

침체시작인가 아닌가?(&금리인하)

비농업고용지수가 수정된 것이 올해6월에 -13000명으로 마이너스가 나왔습니다. 보통 마이너스가 연속적으로 나올때 침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그러면 지금이 침체인가요?지금하는 금리인하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인가 보험적금리인하인가? 연속적으로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오면 침체라 볼 수 있지만 한번 나온 것으로 구분하기가 힘듭니다. 과거에도 침체가 아닌데 연속적은 아니고 가끔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올 때가 있었습니다. 비농업고용지수인데 빨간색은 보험적금리인하, 녹색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 때입니다.음영은 침체때입니다. 67,68,86,95년 보험적금리인하할때도 비농업고용지수가 1번 마이너스를 찍은 적도 있지만 연속적은 아니었습니다. 보통 침체가 아닐 때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를 찍을 때는..

경제 2025.10.01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 막을까?

저는 인플레가 cpi불가상승률 3%가 기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가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글에서 썼지만 cpi불가상승률 3%가 전환점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물가3%이상에서 물가상승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는 하락하였습니다.(68.11~70.5, 71.4~71.7, 72.12~74.8, 80.11~82.6, 22.1~22.9)물가3%이상에서 물가횡보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는 횡보하였습니다.(03.3~06.4안에서 물가 3%이상이었던 구간)물가3%이하에서 물가상승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는 횡보하였습니다.(83.4~83.12, 18.1~18.9)물가3%이하에서 물가횡보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

경제 2025.09.24

파월의 긴축 완화 사이 줄타기는 성공할까?

위 그림은 근원pce물가 mom 이전 3달평균을 연율 환산한 것을 그린 것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23년12월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2%이하가 나올 때 금리인하하겠다는 말이 나왔습니다.(완화)그러다 24년1분기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치솟자 24년4월에 금리인하 제동을 걸었습니다.(긴축)23년7월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2%이하가 나오자 다시 금리인하하겠다고 하고 9월에 빅컷을 단행하였습니다.(완화)그러다 24년 1분기에 금리인하로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상승하자 금리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말을 합니다.(긴축)24년7월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2%이하가 나오자 24년9월fomc 점도표 금리전망은 하..

경제 2025.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