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파월의 긴축 완화 사이 줄타기는 성공할까?

吾喪我 2025. 9. 22. 06:14

 

위 그림은 근원pce물가 mom 이전 3달평균을 연율 환산한 것을 그린 것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23년12월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2%이하가 나올 때 금리인하하겠다는 말이 나왔습니다.(완화)

그러다 24년1분기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치솟자 24년4월에 금리인하 제동을 걸었습니다.(긴축)

23년7월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2%이하가 나오자 다시 금리인하하겠다고 하고 9월에 빅컷을 단행하였습니다.(완화)

그러다 24년 1분기에 금리인하로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상승하자 금리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말을 합니다.(긴축)

24년7월에 3달 평균 근원pce물가 mom 연율환산이 2%이하가 나오자 24년9월fomc 점도표 금리전망은 하향되었습니다.(완화)

25년2분기 물가가 상승하려하자 25년6월fomc 26,27년 금리전망은 상향되었습니다.(약한 긴축)

그림을 보시면 긴축적으로 나가면 이후 물가지수mom은 낮게 나오고 완화적으로 나가면 이후 물가지수mom이 높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파월의 긴축과 완화 사이에서 갈피를 못잡고 왔다갔다 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둘 사이에서 줄타기를 잘 하면서 침체와 3%위 물가상승을 피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파월의 이런 노력 덕분에 인플레와 침체를 피하며 주가지수도 상승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주가지수는 인플레(금리인상 10년금리상승동반)와 침체, 회사채위기만 아니면 주가지수는 잘 상승해온게 역사입니다. 

 

지금은 근원pce물가 mom 3달 평균 연율 환산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온 대로 하면 물가 상승을 막기위해 긴축적으로 나가며 줄타기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최근 비농업고용지수가 연속적으로 10만이하로 나오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금리인하 하라는 트럼프의 압력을 피할 수 없습니다. 

결국 파월은 물가만 보면 긴축을 해야할 상황에 침체 우려와 트럼프때문에 통화완화를 선택해서 향후 침체보다 물가상승을 택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지난 2년처럼 긴축과 완화 사이 파월의 줄타기가 성공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