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인플레가 cpi불가상승률 3%가 기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가 '10년물금리와 주가지수 관계' 글에서 썼지만 cpi불가상승률 3%가 전환점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가3%이상에서 물가상승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는 하락하였습니다.(68.11~70.5, 71.4~71.7, 72.12~74.8, 80.11~82.6, 22.1~22.9)
물가3%이상에서 물가횡보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는 횡보하였습니다.(03.3~06.4안에서 물가 3%이상이었던 구간)
물가3%이하에서 물가상승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는 횡보하였습니다.(83.4~83.12, 18.1~18.9)
물가3%이하에서 물가횡보하면서 금리인상을 가져갈때 10년물금리가 상승하면서 주가지수도 상승하였습니다.(87.4~87.7, 17.8~18.1 , 03.3~06.4안에서 물가 3%이하였던 구간)
(금리인상한다고 10년물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금리인상이 누적되면 침체 우려로 오히려 10년물금리가 하락하기도 합니다. )
이렇게 물가가 3%이상이냐 이하이냐에 따라 자산시장 반응이 달랐습니다.
'파월의 긴축 완화 사이 줄타기는 성공할까' 글에도 썼지만 파월이 물가지수mom이 상승할때는 긴축적인 발언, 근원pce물가mom이 2%이하일때는 완화적인 발언을 하면서 침체가 오지않게 하면서 물가를 통제하였습니다.
그 결과 지난 2년은 cpi물가상승률이 3%이하에 머물며 주가지수는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였습니다.
이제 cpi상승률은 3%이상으로 갈까 말까하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이때는 물가를 감안하면 긴축적인 발언을 해야 하지만 침체우려와 트럼프때문에 통화완화를 선택하여 향후 침체보다 물가상승을 택한 것처럼 보입니다.
물가가 3%이상에서 상승하려한다면 금리인상을 하지 않더라도 지난 2년간 긴축과 완화 사이 줄타기 해온 것처럼 파월이 긴축적인 발언을 할꺼라 생각합니다.
미국 주가지수는 인플레와 침체, 회사채위기에 빠지지 않으면 지금까지 상승해온 것이 역사이긴 합니다.
그러면 인플레면 항상 주가지수는 하락했을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2021년 물가가 3%위에서 상승할 때는 물가상승이 일시적이라고 양적완화를 계속 가져갔습니다.
그리고 시장도 물가상승을 일시적이라 믿어 10년물금리는 횡보하였습니다.
그래서 2021년에는 인플레에도 주가지수는 상승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인플레가 오더라도 통화완화를 계속 가져가거나 10년물금리가 일정 레벨이상에서 오르지 않으면 주가지수는 상승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10년물금리가 일정례벨이상에서 오르지 않도록 몰래 양적완화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물가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만일 연준이 말로만 긴축을 부르짖고 실제로는 계속 통화완화를 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러면 2021년처럼 자산시장은 좋을 겁니다.
반면에 물가는 안잡히고 오히려 더 상승할 수도 있어 1948년처럼 호미로 막을 걸 나중에 가래로 막아야 할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때는 물가통제, 배급제로 공식물가는 낮았지만 암시장 물가는 높았습니다.
그러다 1946년에 물가통제를 그만두자 물가가 상승하고 시장금리도 상승하였습니다.
1946년에 기준금리 인상을 하지 않았어도 물가상승 시장금리 상승때문에 지수는 고점찍고 하락하였지만 침체는 오지 않았습니다.
지금과 같은 gdp대비 120%의 막대한 정부부채 때문에 1947년 트루먼이 다시 물가 임금 대출을 통제하려 들었는데 의회에서 반대해서 시행하지 못했고
버티다 어쩔수 없이 1948년에 물가를 잡으러 재할인율을 인상하고 지급준비율도 인상하였습니다.
긴축으로 인해 침체는 1948년11월에 시작하였습니다.
이번에도 1948년처럼 호미로 막아도 될 것을 나중에 어쩔 수 없이 가래로 막아야할 상황이 올 것도 같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밑으로 하락한 구인구직비율 (0) | 2025.10.07 |
---|---|
침체시작인가 아닌가?(&금리인하) (0) | 2025.10.01 |
파월의 긴축 완화 사이 줄타기는 성공할까? (0) | 2025.09.22 |
금리인하로 고개를 든 3%위 물가상승 (0) | 2025.09.21 |
보험적금리인하 후 10년물금리 주가지수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