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체가 이슈가 되지 않으면 최근 6달 근원pce물가 mom 평균이 0.19%이하면 연준이 금리인하를 하거나 점도표 금리전망을 하향하였습니다.
최근 6달 근원pce물가 mom 평균은 0.21%, 최근 3달 근원pce물가 mom 평균은 0.14%가 됩니다.
인플레 나우캐스팅 8월 근원pce물가 mom 예상은 0.24%입니다.
8월 예상을 넣어서 계산하면 최근 6달 근원pce물가 mom 평균은 0.2%, 최근 3달 근원pce물가 mom 평균은 0.17%가 됩니다.
(인플레 나우캐스팅이 잘 맞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실제 물가 데이터가 한번 나우캐스팅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면 몇달 계속 나우캐스팅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고 실제 물가 데이터가 한번 나우캐스팅 예측치보다 높게 나오면 실제 수치는 나우캐스팅 예측치보다 몇달 계속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8월 cpi mom은 나우캐스팅에서 0.26%를 예상했는데 실제는 0.28%로 높게 나와 향후 몇달 실제 데이터가 나우캐스팅 예측치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침체 이슈만 없으면 0.21%는 0.19%보다 높기에 연준이 금리인하를 하지 않겠지만 지금은 침체 이슈때문에 금리인하를 하고 점도표 금리전망도 하향할 것 같습니다.
점도표는 내년까지 금리인하 6~8회 정도이지 않을까 하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보통 물가전망과 금리전망이 같이 상향되거나 같이 하향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침체 이슈 때문에 물가전망이 그대로여도 금리전망은 하향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7월 근원pce물가지수 122.459를 토대로 올해 물가전망이 바뀔 수 있을지 계산해보고자 합니다.
보통 연준은 물가지수 mom을 0.15~0.2%로 해서 물가전망을 합니다.
참고로 근원pce물가 mom 0.19%이 평균적으로 나올때 내년 물가전망 2.3%, 근원pce물가 mom 0.17%이 평균적으로 나올때 내후년 물가전망 2%에 도달하게 됩니다.
7월 근원pce물가지수에서 근원pce물가 mom 0.18%가 평균적으로 나올 경우 올해말 근원pce물가상승률은 2.71%가 나옵니다.
7월 근원pce물가지수에서 근원pce물가 mom 0.19%가 평균적으로 나올 경우 올해말 근원pce물가상승률은 2.76%가 나옵니다.
7월 근원pce물가지수에서 근원pce물가 mom 0.2%가 평균적으로 나올 경우 올해말 근원pce물가상승률은 2.81%가 나옵니다.
6월 fomc 올해 근원pce물가상승률 전망이 2.8%인데 9월 fomc 올해 근원pce물가상승률 전망은 2.8% 그대로 이거나 2.7%로 하향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물가전망이랑 상관없이 금리전망은 하향될 거라 생각합니다.
최근 3달 근원pce물가 mom 평균 0.14%으로 계산하면 올해 근원pce물가상승률 전망은 2.5%가 되는데 연준이 변동폭이 큰 최근 3달치 데이터로 참고하지는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향후 주가지수가 오를지 말지 알 수 있는 방법 (2) | 2024.09.25 |
|---|---|
| 앞으로 금리인하하면 달러지수는 더 하락할까? (4) | 2024.09.20 |
| 부진한 제조업경기에도 주가지수가 상승할 수 있는 경우 (2) | 2024.09.12 |
| 9월 fomc 점도표에 따른 2년물 금리 시나리오 (0) | 2024.09.11 |
| 향후 생각해볼 수 있는 4가지 시나리오 (3)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