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는 기준금리 물가 실업률 하이일드스프레드의 영향을 받습니다.
가장 중요한 첫번재 요인은 기준금리라 생각하고
두번째는 물가 실업률이라 생각하는데 둘은 상황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집니다.
인플레때는 물가가 일단 중요하게 작용하고
경기침체가 오고 나서는 실업률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의 3가지 요인보다 영향은 작지만 3가지 요인 영향이 줄어들면 하이일드스프레드가 영향을 줍니다.
1. 기준금리
상반기는 물가도 잘 내려오고 실업률도 금방 오를 것 같지 않아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문제는 하반기입니다.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가 나오고 실업률이 오른다 해도 물가때문에 연준은 금리인하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금리인하를 해도 근원물가보다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문제는 물가입니다.
물가는 고용이 계속 괜찮다면 8월에 발표되는 7월 cpi이후 3.4%이하에서 안내려오고 3.4%에서 4%사이에서 횡보하거나 오히려 오를 가능성도 있습니다.
cpi전월대비 0.3%에서는 물가상승률은 3.4%에서 4%사이에서 횡보하고 0.4%에서는 상승하는 걸로 나옵니다.
4월cpi는 전월대비 0.4% 나왔는데 전월대비는 들쑥날쑥합니다.
물가가 횡보할 때 시장금리에 영향은 미미한데 연준이 금리인상을 하지 않더라도 엄포를 자주 놓으면 시장금리 상승요인입니다.
고용은 괜찮고 물가가 오르면 연준은 다시 금리인상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시장금리 상승요인입니다.
2. 물가
물가는 6월cpi까지는 3%대까지 잘 하락합니다.
시장금리 하락요인입니다.
그래도 전에 비해서 요즘 물가지표가 발표될 때 시장금리 변동폭은 줄었습니다.
앞으로는 시장금리 미치는 영향은 물가보다 고용이 더 중요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문제는 7월cpi가 발표되는 8월부터입니다.
cpi전월대비 0.3%에서는 물가상승률은 3.4%에서 4%사이에서 횡보하고 0.4%에서는 상승하는 걸로 나옵니다.
물가가 횡보할 때는 물가가 시장금리에 미치는 요인은 미미합니다.
물가가 상승할 때는 시장금리 상승요인입니다.
cpi전월대비 0.2%에서는 물가상승률은 연준의 목표인 3%이하로 하락합니다.
그런데 현재 근원물가 임금때문에 고용이 무너지지 않는 한 이 시나리오는 불가능합니다.
고용이 무너지면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시장금리 하락요인입니다.
3. 고용(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앞으로 시장금리는 고용에 달려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현재 페드워치 채권시장은 하반기에 침체가 오는 것에 배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1.5를 훨씬 넘는 채용공고/구직자비율로 봐서는 고용이 금방 무너질 것 같지 않아보입니다.
언제가는 고용이 무너지겠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저는 고용이 무너지는 기준을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를 찍을 때로 봅니다.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에 진입할 때 실업률을 보면 실업률 바닥 위 0.2 0.3%가 많은데 70년대 인플레 시절에는 0.9% 1.3%로 실업률이 많이 올라야 농축산업을 제외한 전체 산업 근로자수가 감소하였습니다.
지금은 비70년대시절이랑 70년대 중간 같아서 실업률 바닥위 0.5~0.6%정도에서 비농업고용지수가 마이너스를 찍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채권시장에서 배팅하는 것처럼 올해 하반기부터 고용이 무너지면 시장금리 하락요인입니다.
그런데 올해 하반기에도 고용이 견고하다면 고용이 시장금리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볼 수 있고 그러면 물가 기준금리에 의해 시장금리가 영향을 받을 소지가 커집니다.
4. 하이일드 스프레드
기준금리 인상도 중지된 것 같고 실업률도 바닥에서 기고 있고 물가도 전보다 시장금리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 상태에서 은행위기가 터지자 최근에는 히이일드 스프레드가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4%에서 5.22%까지 치솟자 시장금리는 하락하였고 최근에는 4.4%까지 내려왔다가 지금은 4.8%입니다.
최근에는 시장금리는 하이일드 스프레드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그러면 은행위기때문에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계속 상승하고 시장금리는 계속 내려갈 것인가?
그건 아무도 모릅니다.
지역은행 위기가 아직 시스템 붕괴까지는 영향을 미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려서 저는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5%이상에서 계속 치솟을거라 생각하지는 않는데 이건 아무도 모릅니다.
그런데 실업률 상승을 앞두고는 고용붕괴없이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계속 상승한 적은 많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이 위기가 진정되어서 4%초반대 이하로 내려갈 거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이게 횡보해서 시장금리도 횡보하지 않을까 봅니다.
그러나 하이일드 스프레드보다는 물가 고용이 시장금리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일드스프레드와 시장금리 (1) | 2023.05.14 |
---|---|
고용(실업률,비농업고용지수)과 주가지수 (0) | 2023.05.13 |
인플레 고착화로 향후 주가지수는 박스권? (0) | 2023.05.10 |
높은 시장금리가 오래 갈 것 같은 이유 (1) | 2023.05.09 |
금리인상 중지 후부터 침체전 주가지수상승에 대한 의문(인플레고착화) (1)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