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가격입니다.
1950년 이후 금값이 크게 오른 것은 6차례라 볼 수 있습니다.
1971년 닉슨쇼크, 1977~79년 스태그플레이션에 약한 긴축, 2001년 금리인하 누적 후,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양적완화 후,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양적완화 후, 2024년 보험적금리인하 예고 후인 현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값은 침체후 유동성이 풀릴 때(2001,2008,2020) 달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질때(1971,2001,2024),스태그플레이션에 약한 긴축을 할때(1977)에 크게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와 달러지수입니다.
위 그림에 1988년 이전에 달러지수가 보이지 않아서 따로 밑에 그림에 1988년 이전 달러지수를 가져왔습니다..
빨간선은 금가격이 저점을 이룰 때, 녹색선은 금가격이 고점일 때입니다.
금 가격이 크게 상승할 때 말고도 박스권일 때도 저점, 고점을 표시했는데 각각 8번 표시되었습니다.
1976,1982,1985년 빼고 달러 고점 부근에서 금가격이 저점을 이룬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974,1983년 빼고 달러 저점 부근에서 금가격이 고점를 이룬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976,1993,2008년은 침체때 금리인하를 다 끝내고 나서야 금값이 저점을 찍고 상승하였습니다.
2008년은 금값이 저점을 이룰 때가 달러가 강세를 멈추고 약세로 접어들 때였습니다.
1993년은 한번 달러가 강세로 갔다 약세로 갈때에도 금가격은 계속 하락했고 두번째 달러가 강세로 갔다 약세로 가기전에 금가격이 바닥을 찍었습니다.
1976년은 금값이 달러와 상관없이 침체를 벗어났기에 저점을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1982,2001년은 침체때 금리인하 초기에 금값이 저점을 찍고 상승하였습니다.
2001년은 금값이 저점을 이룰 때가 달러가 강세를 멈추고 약세로 접어들 때였습니다.
1983년은 달러와 상관없이 침체를 벗어나 다른 자산가격들이 상승할 때라 금값도 저점을 찍고 상승하였습니다.
1984년 금리인하에도 워낙 기준금리 수준이 높아서 물가는 4%이하로 안정을 찾을 때였습니다.
물가가 안정되니 플라자합의를 가져가 달러약세를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달러가 강세에서 약세로 전환하니 금값은 1985년 저점을 찍고 상승하였습니다.
2015년에 미국이 긴축 예고로 달러는 강세로 가다가 막상 15년12월 fomc에서 첫 금리인상을 가져갈 때가 달러고점이었습니다.
달러강세로 금값은 하락하였다가 달러가 강세에서 약세로 전환하면서 금값도 바닥을 찍고 상승하였습니다.
22년에 금리인상을 가져가면서 달러는 강세로 가다가 22년6월에 물가가 하락으로 접어들었고 물가하락과 달러가 너무 많이 올라서인지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22년9월에 달러가 약세로 접어들면서 금값은 바닥을 찍고 상승하였습니다.
1988년1월에 금값이 고점을 찍고 하락했는데 87년 블랙먼데이때 다른 자산이 폭락한반면 금값은 올랐다가 다른 자산을 따라 금값도 내려갔고 이때가 달러가 약세를 멈출 때이긴 했습니다.
1980,1983년은 침체로 인한 금리인하가 다 멈추자 1976,1993,2008년과 반대로 금값이 고점을 찍고 하락하였습니다.
1996년은 보험적금리인하가 끝나갈 때쯤 금값이 고점을 찍고 하락하였습니다.
2007년9월에 침체로 인해 금리인하를 가져가기 시작했는데 이때는 달러가 약세로 갈 때라 금리인하로 달러는 더 약세로 가면서 금값은 더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다 침체가 심화되고 달러가 바닥에서 강세로 접어들면서 금값은 고점을 찍고 하락하였습니다.
2011년 2차양적완화 종료하고 2020년 양적완화를 하는 중에 달러가 약세에서 강세로 접어들 때쯤 양적완화 효과로 올랐던 금값은 고점을 찍고 하락하였습니다.
2024년 들어서 금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 더 오를 거란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역사적으로 골디락스 상황과 금값 상승이 같이 온 적은 없습니다.
미국 경제가 잘 나가서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이는 금값 하락 요인이 됩니다.
어떤 사건으로 침체가 오면 달러가 강세로 가고 연준은 금리인하를 가져가고 유동성을 풀거라 생각합니다.
2001년이나 2008년처럼 통화완화가 누적되면서 달러가 강세에서 약세로 접어들 때가 금투자 적기라 생각합니다.
유동성이 풀릴 때 금값이 많이 상승할거라 생각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1월 실업률 분석 (2) | 2024.12.07 |
|---|---|
| 바뀌는 물가 분위기 (1) | 2024.12.04 |
| 여러 가능성을 생각해야 하는 이유, 구인구직비율 (0) | 2024.11.29 |
| 연준이 물가에 대한 말이 왔다갔다 하는 이유 (1) | 2024.11.29 |
| 금리가 성장과 물가를 제대로 반영해야 고점을 찍는 불편한 사실 (0) | 2024.11.27 |